ㅇ 박 차관과 해너포드 차관은, '11년 한국 산업부와 캐나다 천연자원부가 에너지 기술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이후, 자원, 신재생 등 분야에서 다양한 협력사업을 해왔으며,
ㅇ 현재 양국이 직면한 글로벌 에너지 위기 상황을 공동 대응함으로써 잘 극복해 나갈 수 있다는 점에 공감하였다.
ㅇ 특히, 그동안 광물자원, 천연가스, 에너지기술 분야 협력에 머무르지 않고, 이차전지‧전기차용 핵심 광물, 수소, 원전 분야 등으로 협력 분야를 확대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 한-캐 양측은, 한국의 이차전지‧전기차 분야 글로벌 기업들의 북미지역 투자,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등으로 캐나다를 포함한 북미지역에서 핵심 광물 원재료 확보가 중요해지는 바,
ㅇ 리튬, 희토류 등 핵심광물 분야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양국 정부, 기업 등이 참여하는 협력 채널 신설이 필요하며 핵심광물 공급망 협력 MOU 체결 등 양국 간 실질적인 핵심 광물 협력체계를 마련하는데 의견을 교환하였다.
ㅇ 또한, 캐나다는 소형 원전(SMR) 도입 확대 및 관련 제도 정비를 선제적으로 추진 중이며, 한국은 경제성‧안정성을 갖춘 독자 소형 노형(i-SMR)을 개발 중인바, 양국 간 원전을 활용한 상호호혜적 협력 확대에 기대를 보이는 한편,
ㅇ 수력, 천연가스를 바탕으로 그린‧블루 수소생산에 높은 잠재력을 지닌 캐나다와 수소 활용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과 보급 경험이 있는 한국이 협력하여, 글로벌 수소경제 공급망 구축에 좋은 파트너가 될 것으로 기대하였다.
* 전체 발전량 중 약 60%가 수력발전 기반 및 ‘20년 천연가스 생산량 세계 5위
□ 박 차관은 핵심 광물, 소형 원전(SMR), 수소 분야 등에서 양국의 기업 간 활발한 협력 활동에 대해서도 캐나다 정부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당부하면서,
ㅇ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전 세계 에너지 공급망이 재편되는 상황에서 한국과 캐나다가 힘을 합쳐 대응한다면, 양국의 에너지 공급망 안보는 더욱 강화될 것이라고 강조하였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