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읽어보세요!
기술거래는 양방향 경매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기술을 매수한 당사자는 거래금액의 전부 혹은 10퍼센트(%)를 당일 본원에 입금하여야 하며, 10% 나머지 잔금은 거래일로부터 2일 이내(거래일 익일)에 납부하여야 합니다. 만약 위 지정 기간내에 매수자가 입금하지 않으면 거래는 무효가 되며, 잔금도 기한내에 입금되지 않으면 매도자로 귀속됩니다. 이는 매도자의 기한의 이익상실을 보장함 입니다.
기술거래의 수수료는 기술의 이전 및 사업화 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산업통상자원부령 제48호 의거 기술이전 금액의 13퍼센트∼기술이전 금액의 17.5퍼센트로 되어있지만, 본 거래사이트에서는 매도‧매수인 각각 10%로 합니다.
이때 매수인의 매수금액(당사로 입금되는 금액)에서 수수료 각각10% 인 20%를 공제한 후 매도인에게 계좌이체를 하여야 합니다.
또한 권리이전(특허)비용은 기술양수인(매수자)부담이며 그 비용은 별도입니다.
일반적으로, 전력회사의 배전망은 배전용 변전소로부터 부하수요지에 있는 배전 변압기까지의 개폐기, 전주, 피
뢰기 등의 배전설비, 고압케이블 및 전선 등으로 구성되어 고압전력 공급을 담당하는 고압배전망과 배전용변압
기 2차 측으로부터 저압고객까지의 저압전력공급을 담당하는 저압배전망으로 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수지상 배전망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배전공급망은
국내를 포함하여 대부분의 나라에서 중요하지 않은 지역의 경우 수지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전력회
사의 배전망은 배전용 변전소(120)로부터 부하수요지(즉, 저압 수용가)와 연결된 배전 변압기(200)까지의 개폐
기, 전주, 피뢰기 등의 배전설비(140), 고압케이블 및 전선 등의 고압배전선로(160)로 구성된 고압배전망(100;
22.9kV)과 배전 변압기(200)를 거쳐 저압(220/380V)으로 변환된 전력을 고객에게 수송하는 것을 담당하는 저압
배전망으로 구성되어 있다. 개개의 배전용변압기(뱅크)별로 독립적으로 구성된 저압배전선로(320)를 거쳐 연결
된 다수의 저압 수용가(400)에게 전기를 공급한다. 이 방식은 타 배전 변압기(200) 뱅크의 2차측 간에는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수지상 구조는 전력의 공급원 방향으로부터 최종 수요지점까지 어느 한 시점에서
는 반드시 단일경로를 따라 전기회로가 구성되어 있는 방식을 말하며, 이 방식은 계통구성이 단순하기 때문에
시설투자비가 저렴하고, 유지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지만 전기품질 등 전력공급 신뢰도가 낮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수지상으로 구성된 저압배전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배전 변압기(200)를 병렬로 운전하는 구성의[0004]
저압뱅킹, 스폿 네트워크(Spot-Network) 및 그리드 네트워크(Grid-Network)방식이 개발되었다. 북미, 유럽 등
외국의 경우에 도시 외곽지역이나 중요하지 않은 전기공급지역의 경우는 수지상 방식을 많이 활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수지상방식의 낮은 공급신뢰도를 보완하기 위하여 북미나 유럽 등 선진 외국에서는 네트워크 방식(예를
들면, 저압뱅킹방식, 스폿 네트워크, 그리드 네트워크)의 저압배전망을 구성하여 활용하고 있다.
도 2는 종래의 네트워크 방식의 배전망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2는 국내 지상변압기를 이[0005]
용하여 저압 스폿 네트워크를 구성한 저압배전망의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압 스폿 네트워크를
구성한 저압배전망은 국내에서는 사용하고 있지 않지만 미국, 캐나다, 유럽 등의 국가에서 계통의 공급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주요도시의 가공 및 지중의 배전공급망에 수지상 방식과 함께 채용하고 있는 방식이다. 저압
스폿 네트워크를 구성한 저압배전망은 배전용변압기의 2차측을 연결하여 저압배전망을 구성한다. 저압 스폿 네
트워크를 구성한 저압배전망은 배전용변압기 2차측을 공동간선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만약 배전 변압기(200)가
소손되거나 고장을 일으켜도 배전망에 접속되어 있는 타 배전 변압기(200)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변압기는 국내 지상형으로써 배전 변압기(200) 1차측에 한류퓨즈와 이중소자 퓨즈가 연결되어 배전 변압기(200)[0006]
내외부 고장시 사고파급이나 과부하를 보호하고 있다. 또한, 저압배전선로(320)에 연결되어 있는 회로 차단기
(340)는 차단동작을 통하여 저압배전선로(320)에서 발생한 사고로 인하여 케스케이딩(cascading)과 같이 건전한
인근선로로 사고범위가 확대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하고 있다.
도 3은 종래의 네트워크 방식의 배전망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국내[0007]
지상형 배전 변압기(200)의 내부회로도이다. 한류퓨즈(220; Current Limit Fuse)는 지상변압기의 단락사고 등의
내부고장시에 동작하여 배전 변압기(200) 1차측 선로로의 사고파급을 억제하며, 이중소자퓨즈(240; Bay-O-Net
Fuse)는 지상변압기의 2차측 고장 및 과부하를 보호하는 기능이 있다. 주상변압기의 경우는 지상변압기와 마찬
가지로 22.9kV의 1차 배전 전압을 220V/380V로 변환하는 같은 기능을 수행하지만 지상변압기와는 달리 배전 변
압기(200) 내부고장 및 과부하 보호를 위한 보호장치는 배전 변압기(200) 내에 갖고 있지않다.
이 방식들은 모두 최종 수요지점까지의 전기공급 경로가 동시에 2개 이상으로 구성된 방식으로써 2개 배전 변압[0008]
기(200)의 병렬운전에 의한 저압배전망 구성방식(저압뱅킹방식), 다수(2개 또는 그 이상)의 배전 변압기 병렬운
전에 의한 저압배전망 방식(스폿 네트워크), 단일 1차 배전계통과 타 배전선로 및 변전소를 달리하는 1차 배전
선로의 연결 그리고 배전 변압기(200) 2차측 계통을 메쉬(그물)망처럼 구성함으로써 계통신뢰도를 극대화시킨
그리드 네트워크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이 방식들은 계통신뢰도 향상 및 품질관리, 부하관리 등에 유리한 점
이 많은 반면에 설치비용의 고가 및 복잡한 구조로 인하여 설비의 유지관리에 어려움이 있다.
국내에서도 점차 국민소득 수준의 향상에 따라 고품질의 전기공급 요구가 증대되고 있어 이에 대응하기 위한 전[0009]
략으로 신도시나 신규주택단지에 네트워크방식의 배전망 도입을 검토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네트워크방식
을 도입하게 되면 초기 설비투자비는 어느 정도 증가하겠지만 고장발생시 우회경로를 통한 전력공급으로 정전구
간의 최소화 등 공급신뢰도의 향상, 부하수요의 증대에 대한 설비운전의 탄력성 강화 등의 장점을 기대할 수 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