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권

해양심층수의 미네랄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혈당 및 비만형 제2형 당뇨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상품번호 2019122413142980
IPC 한국(KO) 등록
출원번호 1020130054672
공개번호 10-2014-0134580
등록번호 1015158420000
출원인 경북대학교병원
판매가 0원
 

꼭 읽어보세요!

기술거래는 양방향 경매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기술을 매수한 당사자는 거래금액의 전부 혹은 10퍼센트(%)를 당일 본원에 입금하여야 하며, 10% 나머지 잔금은 거래일로부터 2일 이내(거래일 익일)에 납부하여야 합니다. 만약 위 지정 기간내에 매수자가 입금하지 않으면 거래는 무효가 되며, 잔금도 기한내에 입금되지 않으면 매도자로 귀속됩니다. 이는 매도자의 기한의 이익상실을 보장함 입니다.

기술거래의 수수료는 기술의 이전 및 사업화 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산업통상자원부령 제48호 의거 기술이전 금액의 13퍼센트∼기술이전 금액의 17.5퍼센트로 되어있지만, 본 거래사이트에서는 매도‧매수인 각각 10%로 합니다.
이때 매수인의 매수금액(당사로 입금되는 금액)에서 수수료 각각10% 인 20%를 공제한 후 매도인에게 계좌이체를 하여야 합니다.
또한 권리이전(특허)비용은 기술양수인(매수자)부담이며 그 비용은 별도입니다.

 
본 발명은 Mg:Ca의 중량비가 3:1이며 경도 1,000~2,000 ppm인 해양심층수 미네랄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혈당 및 비만형 제2형당뇨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임계적 수치의 본 발명 해양심층수(DSW)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얻은 해양심층수를 HFD-유도성 비만쥐에 투여한 후 공복혈당 및 당부하를 대조군과 비교하는 단계와; 포도당 신생합성, 글리코겐 합성 및 분해, 당산화에 관련된 유전자발현을 조사하는 단계와; 지방세포에서 당흡수를 조사하고 AMPK 및 당흡수 관련 신호분자의 인산화를 조사하는 단계를 통하여 달성하였으며 본 발명은 혈당증가를 억제하고 저하된 당부하 효능을 회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청구범위
청구항 1
마그네슘과 칼슘의 중량비 3:1이고 경도가 1,000~2,000ppm 인 해양심층수 미네랄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혈당 및 비만형 제2형당뇨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청구항 2
마그네슘과 칼슘의 중량비 3:1이고 경도가 1,000~2,000ppm 인 해양심층수 미네랄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혈당 및 비만형 제2형당뇨 예방 및 개선 기능성식품 조성물.
청구항 3
삭제
청구항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같은 경구제, 외용제, 좌제 및 주사제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혈당 및 비만형 제2형당뇨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청구항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담체와 부형제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혈당 및 비만형 제2형당뇨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발명의 설명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해양심층수 미네랄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혈당 및 비만형 [0001] 제2형당뇨 예방 및 치료용 조성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0002]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건강위협이 되고 있는 제2형 당뇨병(type 2 diabetes)의 주된 원인은 고지방식, 주로 포화지방산이 풍부한 식사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제2형 당뇨병을 앓는 사람은 전형적인 비만으로 당을 혈액으로부터 근육이나 지방조직으로 제거 및 에너지원으로 저장하는 인슐린에 내성을 보인다. 또한 정상적인 당흡수가진행되지 않으므로 당부하(glucose tolerance) 능력이 저하되어 혈액에 당이 지속적으로 존재함으로써 고혈당(hyperglycemia) 상태가 된다.
[0003] 당 항상성(glucose homeostasis)은 간, 지방, 근육, 췌장, 뇌 조직 간의 호르몬 전달과정 등 복잡한 대사과정을통해서 조절된다. 특히 간에서는 포도당 신생합성(gluconeogenesis), 글리코겐 합성(glycogenesis)과 글리코겐 분해(glycogenolysis), 당산화(glucose oxidation) 등과 같은 대사과정을 통해 혈액의 당 농도를 조절하고 있다. 포도당 신생합성에는 phosphoenolpyruvate carboxykinase(PEPCK)와 glucose 6-phosphatase(G6Pase)효소가 알려져 있고, 글리코겐 대사에는 합성효소 glycogen synthase(GS)와 분해효소 liver glycogenphosphorylase(LGP), 당산화과정은 glucokinase(GK)와 citrate synthase(CS)효소 등의 역할이 알려져 있다.
[0004] 당흡수(glucose uptake)는 근육이나 지방조직과 같은 신체 내에 에너지 저장이나 소비 등 대사를 대부분 담당하는 말단조직에서 일어나며 여러 신호전달체계가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된 당흡수 관련 신호전달체계로는 인슐린 신호전달체계와 5'AMP-activated protein kinase(AMPK) 신호전달체계가 있다. 최종적으로는 상기신호전달에 의해 직접적으로 외부의 당을 세포 내부로 유입하는 glucose transporter 4(GLUT4)의 활성이 증가(세포 이동)하여 당흡수가 증가한다. 인슐린 신호전달체계는 모든 조직 내에 존재하지만 특히, 근육과 지방조직에서 특이적으로 작용하여 인슐린이 세포막에 존재하는 인슐린 수용체에 결합하고, 다시 상기 수용체에insulin receptor substrate 1(IRS-1)이 결합하여 연속적인 하위 신호전달물질의 활성을 통하여 당흡수가 일어난다. AMPK 신호전달체계는 주로 근육조직에서 근육수축, 영양부족과 같은 에너지 결핍상태에서 당흡수가 일어난다. 다른 조직에서는 즉, 췌장에서는 인슐린 분비에 관여하고 간에서는 포도당 신생합성과 지질대사 억제 등에 관여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11949호에는 경도 100~4000이며 중량기준 Mg : Ca : K : [0005] Na = 3 : 0.5~1.5 :0.5~1.5 : 0.5~1.5로 함유하는 해양심층수 미네랄워터의 항비만 용도가 개시되어 있고, 동 공개특허 제10-2010-76512호에는 해양심층수 유래의 미네랄 탈염수를 이용한 경도 100~4,000mg/L 범위의 취반수와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밥이 개시되어 있으나 고혈당 또는 비만형 제2형 당뇨 예방 및 치료 효과에 가장 바람직한 Mg:Ca의 혼합비와 경도에 대하여는 암시된 바 없다.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0006]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양심층수 미네랄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혈당 및 비만형 제2형 당뇨 예방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0007]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해양심층수 미네랄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혈당 및 비만형 제2형 당뇨 예방및 치료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데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
[0008]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Mg:Ca 중량비 3:1이며 경도 1,000~2,000 ppm의 해양심층수(DSW)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얻은 해양심층수를 HFD-유도성 비만쥐에 투여한 후 공복혈당 및 당부하를 대조군과 비교하는 단계와; 포도당 신생합성, 글리코겐 합성 및 분해, 당산화에 관련된 유전자발현을 조사하는 단계와; 지방세포에서 당흡수를 조사하고 AMPK 및 당흡수 관련 신호분자의 인산화를 조사하는 단계를 통하여 달성하였다.
[0009] 본 발명은 해양심층수 미네랄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및 지방간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해양심층수 미네랄추출물은 바람직하게 약학적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99중량%를 함유하는 것으로 한다.
[0010]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수 있다.
[0011]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해양심층수 미네랄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0012] 및 지방간 예방 및 치료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해양심층수 미네랄추출물은 바람직하게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99중량%를 함유하는 것으로 한다.
[0013] 본 발명 해양심층수 미네랄추출물의 Mg:Ca의 혼합비는 다수의 실험결과 중량비로 3:1이 가장 바람직하고 경도는1,000~2,000 ppm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결과는 이에 한정하고 경도가 500 이하에서는 효능이미미하고 2,000 이상에서는 효능의 차이가 없었다.
[0014] 본 발명의 해양심층수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항비만 및 지방간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해양심층수를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0015] 본 발명은 혈당증가를 억제하고 저하된 당부하 효능을 회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0016] 도 1은 본 발명 해양심층수 미네랄추출물이 (A)공복혈당수치 및 (B)당부하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 해양심층수 미네랄추출물이 (A)포도당 신생합성, (B)글리코겐 합성 및 분해, (C)포도당 산화에관련된 유전자발현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 해양심층수 미네랄추출물이 3T3-L1 지방세포의 2-NBDG 흡수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낸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 해양심층수 미네랄추출물이 (A)AMPK, ACC1의 인산화 및 (B)IRS1의 인산화, GLUT4의 발현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0017]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0018] 실시예: 본 발명 균형 해양심층수(balanced DSW) 제조
[0019] 고성군 오리면에서 6.7km 떨어진 지점의 수심 0.5km에서 끌어올린 오리지널(original) 해양심층수(DSW)를 마이크로필터 시스템((주)시노펙스, 포항, 한국)을 이용하여 여과하였다. 여과된 DSW는 역삼투막을 통과시켜 브라인(brine) 및 탈염처리된 물을 얻었다. 브라인 및 탈염처리한 물을 혼합하여 마그네슘과 칼슘의 중량비가 3:1인본 발명 균형 DSW를 준비하였고 상기 균형 DSW를 경도(hardness)에 따라 연속으로 희석시켰다. 본 발명자들은마그네슘 및 칼슘의 농도에 중점을 두고 본 발명 DSW의 경도를 규정하였고 경도는 하기 공식에 따라계산되었다.
[0020]
[0021] 표 1은 오리지널 및 본 발명 경도 4,000ppm의 DSW샘플 미네랄 함량을 나타낸다. 실험에 사용된 모든 균형 DSW는0.2㎛ 바틀탑 필터(Fisher Scientific Inc.,IL, USA)를 통과시킴으로써 살균되었다.
[0022]
실험예 1: 본 발명 해양심층수의 [0023] 공복혈당 및 당부하에 미치는 효과
[0024] 모든 동물실험은 경북대학교 동물윤리위원회의 지침에 따라 수행되었고 실험 프로토콜은 상기 위원회에서 승인되었다(Approval No. KNU 2012-88). 본 발명 DSW가 체중 및 공복혈당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해 C57BL/6J쥐가 비만 및 당뇨쥐의 동물모델로 사용되었다. 모든 실험은 26주령 수컷쥐에 대하여 수행되었고 상기 쥐는 온도22℃±2℃ 및 상대습도 40%±5%, 8시∼20시 광주기하의 냉방장치가 된 방에서 사육되었다. 모든 쥐는 pelletdiet(LabDiet 5L79;Charles River, Wilmington, MA, USA)를 섭취하였고 1주간의 예비급식 후, 한 배에서 나온C57BL/6J쥐(6주령) 70마리를 공복혈당 수치 및 체중이 유사한 개체들로 묶어 다섯 군으로 세분하였다. 각 다섯군의 C57BL/6J쥐는 19주 동안 대조군식이(control diet;D12450B;Research Diets, normal diet) 또는 고지방식이(HFD;D12451;Research Diets)를 섭취하거나 DSW(경도 500, 1,000 또는 2,000 ppm)를 HFD와 함께 섭취하였다.
체중 및 식수와 음식량은 3일마다 측정되었고 급식이 끝날 지점에 쥐는 18시간 동안 절식하였다. 졸레틸(zoletil; Virbac S.A, Carros, France)로 마취된 상태에서 채혈에 의해 심장에서 혈액을 수집하여 실험에 사용되기 전까지 -70℃에 저장하였다.
[0025] 공복혈당을 알아보기 위해 쥐의 식이를 제한한지 4시간 후에 꼬리정맥을 통해 혈액을 채취하였다. 혈액(10μL)을 증류수(30μL)에 넣고 20%(w/v) 트리클로로아세트산 수용액(40μL)을 첨가하여 얻은 혼합물을 시험관에 담아얼음 위에 보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4℃에서 10분 동안 12,000×g로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청액(10μL)을 이용하여 glucose test kit(아산제약, 서울, 한국)로 확인 및 분광광도계(VersaMax microplate reader)로 505nm에서 흡광도를 계산하여 혈당을 구하였다.
[0026] 복강 당부하실험(intraperitoneal glucose tolerance test, IPGTT) 및 구강 당부하실험(oral glucosetolerance test, OGTT)은 4주째에 실시되었다. 정상식이(normal diet, ND)군, HFD군, DSW(경도 1,000 및2,000)를 첨가한 HFD군(11주령)은 식이를 제한하되 음수는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15시간의 절식 후 1회 2mg/체중kg 및 10mg/체중kg씩 네포딘(nepodin)을 경구로 투여하였다.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cellulose) 단독(0.5mL/100g 체중)을 정상군 m/m 및 당뇨군 db/db에 경구로 투여하였다. 3시간 후에 모든 쥐의꼬리정맥에서 혈액을 채취하였고 즉시 모든 쥐는 복강내 포도당주사를 맞았다(0.2g/mmL/100g 체중). 혈액샘플을연속해서 공시시간 간격(0,30,60,90 및 120분)에 채취하여 혈당 수치를 상기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0027] 실험결과, ND를 섭취한 군과 비교했을 때 HFD를 섭취한 군에서 고혈당 및 당부하성이 악화된 당뇨병이 실험쥐에유도되었다. 해양심층수 미네랄 추출물이 첨가된 음수(경도 500, 1,000 및 2,000)를 섭취한 군에서는 경도 의존적으로 혈당증가가 억제되고(도 1A), 식이섭취 12주째 및 19주째에 수행한 구강 당부하 실험(OGTT)과 복강 당부하 실험(IPGTT)에서 경도 의존적으로 HFD에 의해 악화된 당부하성이 회복됨을 보였다(도 1B). 도 1의 모든 수치는 평균±표준편차(n=8 그룹당)로 나타내었다. *P<0.05, **P<0.01: 유의적 차이 vs. HFD군.
[0028] 따라서 본 발명 해양심층수는 고혈당 억제 및 당부하성 회복에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0029] 실험예 2: 본 발명 해양심층수의 글리코겐 합성관련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효과
[0030] 본 발명 해양심층수의 고혈당 억제 및 당부하 회복 효능에 관련된 메커니즘을 알아보기 위해서 신체 내의 당항상성(glucose homeostasis) 유지에 중요한 조직 중 하나인 간에서 포도당 신생합성(glyconeogenesis), 글리코겐 합성(glycogenesis), 글리코겐 분해(glycogenolysis) 및 당산화(glucose oxidation)에 관련된 유전자 발현을 조사하였다. 트리졸(Invitrogen)을 이용하여 간 및 지방조직으로부터 RNA를 분리하고 PrimeScript™ 1stStrand cDNA 합성키트(Takara)를 이용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Real-time PCR은 ABI Prism 7300 SequenceDetection System(Applied Biosystems)에서 FastStart SYBR Green Master mix(Roche)를 이용하여 3회 반복으로수행되었다. 내생 표준유전자 액틴의 발현에 delta cycle threshold method를 이용하여 비례적으로 타겟유전자의 발현이 계산되었다. 사용된 프라이머 서열은 [표 2]에 나타내었다.
[0031]
실험결과, HFD군에서는 포도당 신생합성(도 2A)에 관련된 glucose 6-phosphatase([0032] G6Pase), 글리코겐 합성(도2B)에 관련된 glycogen synthase(GS) 및글리코겐 분해(도 2B)에 관련된 liver glycogen phosphorylase(LGP),당산화(도 2C)에 관련된 glucokinase(GK) 및 citrate synthase(CS)의 유전자 발현이 증가했음을 확인하였다.
[0033] 그러나 본 발명 DSW를 함께 섭취한 HFD군에서는 glycogen synthase(GS)를 제외한 모든 유전자 발현이 감소하였다.
[0034] 따라서 본 발명 해양심층수는 고지방식에 의하여 증가된 포도당 신생합성, 글리코겐 분해, 당산화관련 유전자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일반식 섭취수준의 혈당을 유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0035] 실험예 3: 본 발명 해양심층수의 3T3-L1 지방세포의 당흡수에 미치는 효과
[0036] 당흡수에 대한 본 발명 해양심층수의 효능을 알아보기 위해 3T3-L1 지방세포를 이용하여 당흡수를 조사하였다.
성숙한 3T3-L1 지방세포에 의한 당흡수는 2-NDBG를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성숙한 3T3-L1 지방세포는 96wellblack culture plate(Greiner Bio-One, CELL STAR 96W Palte, NC, USA)에서 분화한 후 PBS로 세척되었다. 세포를 무혈청 DMEM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한 후 10μM의 로지글리카존 및 100nM의 인슐린이 존재시와 부재시에 경도별 균형 DSW 및 20μM의 2-NDBG를 포함한 DMEM에서 배양하였다. 1시간 동안 배양한 후 세포를 PBS로 세척하고lysis buffer(0.1M potassium phoshate, 1% Triton X-100, pH10)에서 10분 동안 교반하면서 배양하였다. 다시10분 동안 교반하면서 dimethyl sulfoxide(DMSO)를 첨가하였다. Microplate reader(FLUOstar OPTIMA, BMGLABTECH, Germany)를 이용하여 466nm 여기파장과 540nm 방출파장에서 각각 형광신호를 측정하였다.
[0037] 세포가 용해된 후 형광강도계를 이용하여 당흡수를 측정하고 모든 수치를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P<0.05, **P<0.01: 유의적 차이 vs. 미처리군(CON)
[0038] 미처리군(CON)을 기준으로 본 발명 해양심층수 처리군(경도별), 당흡수 촉진군의 당 흡수를 비교한 결과, 해양심층수 처리군은 경도 의존적으로 당흡수가 증가하였다. 도 3에서 보다시피 경도 1,500 이후부터 지방세포의 당흡수 촉진제로 이미 알려진 rosiglitazone 및 insulin에 의한 당흡수와 유사한 수준의 효능을 확인하였다.
[0039] 따라서 본 발명 해양심층수는 지방조직에서 당흡수 효능을 증가시켜서 고지방식에 의한 고혈당 현상을 억제함을시사한다.
실험예 4: 본 발명 해양심층수의 AMPK [0040] 인산화 및 당흡수에 미치는 효과
[0041] 어떤 신호전달 물질이 본 발명 해양심층수 미네랄추출물에 의한 당흡수에 연관되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3T3-L1 지방전구세포를 경도별 DSW를 함유한 배지에서 8일 동안 지방세포로 분화시킨 후에 3T3-L1 지방세포의용해물로 항-phospho-AMPK, 항-phospho-ACC1 및 항-phospho-IRS-1AMPK 항체를 이용하여 SDS-PAGE 및 웨스턴블럿팅 분석을 하였다.
[0042] 세포를 ice-cold PBS로 세척하고 얼음을 긁어낸 후 RIPA버퍼에 용해시켰다. 총 세포단백질은 SDS-폴리아크릴아마이드 겔 전기영동을 통해 분리하여 니트로셀룰로오스 막에 옮겼다. 막은 5% 탈지분유로 1시간 동안 봉쇄하고항-포스포 AMPK, 항-포스포 IRS-1, 항-GLUT4 및 항-베타액틴 항체(1:3,000로 희석)를 넣고 밤새 4℃에서 배양하였다. 0.1% Tween-20을 함유한 TBS로 세척한 후 막을 산화환원효소 복합2차항체(1:3,000)를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니트로셀룰로오스 막에 결합한 항체는 ECL 및 방사선투과검사로 검출되었다.
[0043] 실험결과, AMPK 및 그 기질인 ACC1의 활성이 경도의존적으로 해양심층수에 의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도 4A).또한 본 발명 해양심층수는 경도의존적으로 주요 당흡수 신호전달체계의 하나인 인슐린 신호전달 체계의 IRS-1의 활성과 직접적으로 당흡수를 담당하는 GLUT4의 발현을 증가시켰다(도 4B).
[0044] 따라서 본 발명 해양심층수는 당흡수 관련 신호전달체계를 활성화하여 당흡수를 증가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0045] 통계분석
[0046] 모든 실험결과는 SPSS(ver.1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원분산분석(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에의해 비교되었고 실험데이터는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ANOVA는 P<0.05에서 전반적으로 유의적인 처리결과를 나타낼 때 보호되는 최소 유의적 차이의 기술에 의해 결정된 대로 그룹 평균값은 P<0.05에서 유의적으로다른 것으로 간주되었다.
[0047] 산업상 이용가능성
[0048] 본 발명은 혈당증가를 억제하고 당부하성을 회복시키는 효과를 갖는 해양심층수 미네랄추출물을 제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건강기능성식품산업상 및 생물의약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등록된 상품문의

  •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등록된 사용후기

  • 사용후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