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권

웨어러블 밴드형 점자 입력 장치

상품번호 2019111209472612
IPC 한국(KO) 등록
출원번호 1020170054754
공개번호 10-2018-0120875
등록번호 1019337880000
출원인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판매가 0원
 

꼭 읽어보세요!

기술거래는 양방향 경매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기술을 매수한 당사자는 거래금액의 전부 혹은 10퍼센트(%)를 당일 본원에 입금하여야 하며, 10% 나머지 잔금은 거래일로부터 2일 이내(거래일 익일)에 납부하여야 합니다. 만약 위 지정 기간내에 매수자가 입금하지 않으면 거래는 무효가 되며, 잔금도 기한내에 입금되지 않으면 매도자로 귀속됩니다. 이는 매도자의 기한의 이익상실을 보장함 입니다.

기술거래의 수수료는 기술의 이전 및 사업화 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산업통상자원부령 제48호 의거 기술이전 금액의 13퍼센트∼기술이전 금액의 17.5퍼센트로 되어있지만, 본 거래사이트에서는 매도‧매수인 각각 10%로 합니다.
이때 매수인의 매수금액(당사로 입금되는 금액)에서 수수료 각각10% 인 20%를 공제한 후 매도인에게 계좌이체를 하여야 합니다.
또한 권리이전(특허)비용은 기술양수인(매수자)부담이며 그 비용은 별도입니다.

 
본 발명은 웨어러블 밴드형 점자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웨어러블 밴드 형태로 제공되며, 한글, 영어 및 숫자를 6점자 입력 방식으로 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점자키값에 대응하는 상기 한글, 영어 및 숫자로 변환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한글, 영어 및 숫자에 대응하는 키코드를 전송하는 통신모듈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는, 6개의 점자 입력키와 복수의 기능 입력키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밴드형 점자 입력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웨어러블 밴드 형태로 구비되어 6점자 입력 방식으로 점자를 쉽게 입력할 수 있다.

청구범위
청구항 1
웨어러블 밴드 형태로 제공되며, 한글, 영어 및 숫자를 6점자 입력 방식으로 입력하는 입력부와,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점자키값에 대응하는 상기 한글, 영어 및 숫자로 변환하는 제어부와,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한글, 영어 및 숫자에 대응하는 키코드를 전송하는 통신모듈부를 포함하며,상기 입력부는, 6개의 점자 입력키와 복수의 기능 입력키를 포함하고,상기 복수의 기능 입력키는, 백스페이스키, 엔터키, 한영 변환키 및 스페이스키를 포함하며,상기 입력부는,한글 자음을 입력할 경우 상기 6점자 입력 방식으로 입력하되, 초성 자음과 종성 자음을 구분하여 입력하고, 된소리 자음과 초성 복자음은 된소리 입력키를 이용하여 입력하며, 종성 복자음은 상기 종성 자음의 순차 입력을통해 입력하고,한글 모음을 입력할 경우 상기 6점자 입력 방식으로 입력하되, 상기 점자 입력키를 1회 사용하여 입력하거나 혹은 2회 사용하여 입력하고, 모음 앞에 자음이 없을 경우 'ㅇ'가 자동 출력되며, 결합된 모음의 경우 붙임 입력키를 이용하여 입력하고,상기 숫자를 입력할 경우 상기 6점자 입력 방식으로 입력하되, 수표 입력키를 이용하여 입력하고, 상기 숫자 다음에 상기 초성 자음이 이어지는 경우 상기 숫자 입력 후에 상기 붙임 입력키를 입력하는 웨어러블 밴드형 점자입력 장치.
청구항 2
삭제
청구항 3
삭제
청구항 4
삭제
청구항 5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입력부는, 한글 약자를 입력할 경우 상기 6점자 입력 방식으로 입력하되, '가'를 제외하고 한글자음과'ㅏ' 모음의 결합 문자는 상기 한글 자음만을 입력하며, 'ㅆ'받침 또는 'ㅖ'의 약어 입력키를 이용하여입력하는 웨어러블 밴드형 점자 입력 장치.
청구항 6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입력부는, 한글 약어를 입력할 경우 상기 6점자 입력 방식으로 입력하되, 접속사별로 지정되어 있는 약어입력키를 입력하는 웨어러블 밴드형 점자 입력 장치.
청구항 7
삭제
청구항 8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입력부는, 문장부호를 입력할 경우 상기 6점자 입력 방식으로 입력하되, 상기 백스페이스키 및 엔터키 중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면서 상기 문장부호에 대응하는 문장부호 입력키를 입력하는 웨어러블 밴드형 점자 입력장치.
청구항 9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입력부는, 명령어를 입력할 경우 상기 6점자 입력 방식으로 입력하되, 상기 스페이스키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웨어러블 밴드형 점자 입력 장치.
청구항 10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입력부는, 상기 영어를 입력할 경우 상기 6점자 입력 방식으로 입력하되, 상기 한영 변환키를 이용하여 상기 한글과 상기 영어를 변환하여 입력하거나, 상기 스페이스키 및 엔터키를 이용하여 상기 한글을 상기 영어로변환하여 입력하거나, 상기 스페이스키 및 백스페이스키를 이용하여 상기 영어를 상기 한글로 변환하여 입력하는 웨어러블 밴드형 점자 입력 장치.
청구항 11
제 1 항, 제 5 항, 제 6 항,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상기 한글, 숫자 및 영어가 입력될 경우 상기 점자키값을 상기 한글, 숫자 및 영어로 변환한 후에, 상기 한글, 숫자 및 영어에 대응하는 상기 키코드로 변환하는 웨어러블 밴드형 점자 입력 장치.
청구항 12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상기 한글, 숫자 및 영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키코드를 상기 통신모듈부를 통해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웨어러블 밴드형 점자 입력 장치.
청구항 13
제 12 항에 있어서,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밴드형 점자 입력 장치.
발명의 설명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웨어러블 밴드 형태로 구비되어 6점자 입력 방식으로 점자를 쉽게 [0001] 입력할 수 있는 웨어러블 밴드형점자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점자는 시각 장애인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종이 등에 [0002] 요철로 된 다양한 형태의 패턴들을통해 손가락의 촉각으로 패턴을 식별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0003] 이러한 점자는 예를 들어 6점자, 8점자 등이 통용되며, 점자의 개수와 배열을 달리하여 문자체계를 형성할 수있는데, 최근 스마트폰 같은 모바일 통신단말기가 널리 활용되면서 점자의 입력이나 출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수 있는 점자 입력 장치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0004] 예를 들면,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시각 장애인용 점자 단말기,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점자 스마트워치,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은 시각장애인용 스마트 안경, 도 1d에 도시한 바와 같은 청각장애인용 의사소통보조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장치들이 제안되고 있다.
[0005]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장치들은 무겁고 휴대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비용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장애인이휴대하면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0006] (특허문헌 0001) 1. 한국등록특허 제10-0556863호(2006.02.23.등록)
(특허문헌 0002) 2. 한국등록특허 제10-0625950호(2006.09.12.등록)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0007] 본 발명은 웨어러블 밴드 형태로 구비되어 6점자 입력 방식으로 점자를 쉽게 입력할 수 있는 웨어러블 밴드형점자 입력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0008] 또한, 본 발명은 웨어러블 밴드 형태로 제공되는 입력부를 통해 입력하고자 하는 한글, 영어 및 숫자를 6점자입력 방식으로 입력하고, 입력된 점자키값에 대응하는 한글, 영어 및 숫자로 변환한 후 전송함으로써, 쉽게 착용 가능하면서 소형화 및 경량화되어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간단한 구성으로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웨어러블 밴드형 점자 입력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0009]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
[001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밴드 형태로 제공되며, 한글, 영어 및 숫자를 6점자 입력 방식으로 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점자키값에 대응하는 상기 한글, 영어 및 숫자로 변환하는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한글, 영어 및 숫자에 대응하는 키코드를 전송하는 통신모듈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는, 6개의 점자 입력키와 복수의 기능 입력키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밴드형 점자 입력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0011]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기능 입력키는, 백스페이스키, 엔터키, 한영 변환키 및 스페이스키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밴드형 점자 입력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0012]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력부는, 한글 자음을 입력할 경우 상기 6점자 입력 방식으로 입력하되, 초성 자음과 종성 자음을 구분하여 입력하고, 된소리 자음과 초성 복자음은 된소리 입력키를 이용하여 입력하며, 종성 복자음은 상기 종성 자음의 순차 입력을 통해 입력하는 웨어러블 밴드형 점자 입력 장치가 제공될수 있다.
[0013]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력부는, 한글 모음을 입력할 경우 상기 6점자 입력 방식으로 입력하되, 상기 점자 입력키를 1회 사용하여 입력하거나 혹은 2회 사용하여 입력하는 웨어러블 밴드형 점자 입력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력부는, 한글 약자를 입력할 경우 [0014] 상기 6점자 입력 방식으로 입력하되, '가'를 제외하고 한글 자음과'ㅏ' 모음의 결합 문자는 상기 한글 자음만을 입력하며, 'ㅆ'받침 또는 'ㅖ'의약어 입력키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웨어러블 밴드형 점자 입력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0015]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력부는, 한글 약어를 입력할 경우 상기 6점자 입력 방식으로 입력하되, 접속사별로 지정되어 있는 약어 입력키를 입력하는 웨어러블 밴드형 점자 입력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0016]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력부는, 상기 숫자를 입력할 경우 상기 6점자 입력 방식으로 입력하되, 수표 입력키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웨어러블 밴드형 점자 입력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0017]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력부는, 문장부호를 입력할 경우 상기 6점자 입력 방식으로입력하되, 상기 백스페이스키 및 엔터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면서 상기 문장부호에 대응하는 문장부호 입력를 입력하는 웨어러블 밴드형 점자 입력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0018]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력부는, 명령어를 입력할 경우 상기 6점자 입력 방식으로 입력하되,상기 스페이스키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웨어러블 밴드형 점자 입력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0019]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력부는, 상기 영어를 입력할 경우 상기 6점자 입력 방식으로 입력하되, 상기 한영 변환키를 이용하여 상기 한글과 상기 영어를 변환하여 입력하거나, 상기 스페이스키 및 엔터키를이용하여 상기 한글을 상기 영어로 변환하여 입력하거나, 상기 스페이스키 및 백스페이스키를 이용하여 상기 영어를 상기 한글로 변환하여 입력하는 웨어러블 밴드형 점자 입력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0020]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한글, 숫자 및 영어가 입력된 후에 상기 스페이스키가입력될 경우 상기 점자키값을 상기 한글, 숫자 및 영어로 변환한 후에, 상기 한글, 숫자 및 영어에 대응하는 키코드로 변환하는 웨어러블 밴드형 점자 입력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0021]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한글, 숫자 및 영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변환된키코드를 상기 통신모듈부를 통해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웨어러블 밴드형 점자 입력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0022]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를 포함하는 웨어러블밴드형 점자 입력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0023] 본 발명은 웨어러블 밴드 형태로 구비되어 6점자 입력 방식으로 점자를 쉽게 입력할 수 있는 웨어러블 밴드형점자 입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0024] 또한, 본 발명은 웨어러블 밴드 형태로 제공되는 입력부를 통해 입력하고자 하는 한글, 영어 및 숫자를 6점자입력 방식으로 입력하고, 입력된 점자키값에 대응하는 한글, 영어 및 숫자로 변환한 후 전송함으로써, 쉽게 착용 가능하면서 소형화 및 경량화되어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간단한 구성으로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0025] 도 1a 내지 도 1d는 종래에 장애인의 의사 소통을 위해 개발된 다양한 정보 통신 제품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밴드형 점자 입력 장치와 통신단말기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밴드형 점자 입력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한글 자음을 입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한글 모음을 입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숫자를 입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약자를 입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약어를 입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a 내지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문장부호를 입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a 내지 도 10g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명령어를 입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한영 변환을 입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a 내지 도 12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한글, 숫자 및 영어에 대응하는 키코드 변환을 설명하기 위한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0026]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0027]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0028]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0029]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밴드형 점자 입력 장치와 통신단말기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3a 및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밴드형 점자 입력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구현되는 한글 점자 규정은 국립국어원의 2016년 개정판을 기반으로 하였고, 구현되는 영어 점자 규정은 UEB Standardecond Edition 2013 개정판을 기반으로 하였다.
[0030] 도 2와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밴드형 점자 입력 장치(100)는 입력부(110), 제어부(120), 통신모듈부(1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0031] 입력부(110)는 웨어러블 밴드 형태로 제공되며, 입력하고자 하는 한글, 영어 및 숫자를 6점자 입력 방식으로 입력하는 것으로, 6개의 점자 입력키와 복수의 기능 입력키를 포함하고, 복수의 기능 입력키에는 백스페이스키,엔터키, 한영 변환키, 스페이스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0032] 상술한 바와 같은 입력부(110)는 터치스크린, 기계식 버튼, 직물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입력부(110)로구현되는 직물센서의 경우, 직물형태의 터치센서를 위한 직물구조를 설계한 후, 그 하중 및 위치에 따른 정전용량 응답특성을 측정 및 평가한 결과 우수한 직물센서 특성을 획득할 수 있다.
[0033] 이러한 직물센서를 이용한 웨어러블 밴드 형태로 제공되는 입력부(110)의 키패드의 경우 도 3a에 도시한 바와같이 손가락 배열 방식의 입력 키패드로 제공되거나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6점자 입력 키패드 방식 또는 수평 6점자 입력 키패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0034] 상술한 바와 같은 입력부(110)를 통해 다양한 점자를 입력할 수 있는데, 첫째, 한글 자음을 입력할 경우 6점자입력 방식으로 입력하되, 초성 자음과 종성 자음을 구분하여 입력하고, 된소리 자음과 초성 복자음은 된소리 입력키를 이용하여 입력하며, 종성 복자음은 종성 자음의 순차 입력을 통해 입력할 수 있다.
[0035] 예를 들면,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자는 6개의 점이 모여 한 칸(cell)이 되며, 좌측 입력키인 1점, 2점, 3점으로 하고, 우측 입력키인 4점, 5점, 6점으로 하여 고유 번호를 지정하여 6점자 입력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0036] 이러한 6점자 입력 방식에서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자음(즉, 초성 자음과 종성 자음)과 된소리 자음에 대응하는 점형에서 초성 자음과 종성 자음은 다른 점형을 사용할 수 있고, 된소리 자음의 경우 도 4c에 도시한 바와같이 된소리표 점형(된소리 입력키)을 먼저 입력한 후 자음에 해당하는 점형을 입력하여 'ㄲ', 'ㄸ', 'ㅃ','ㅆ', 'ㅉ' 등을 입력할 수 있다.
[0037] 이러한 초성 자음과 된소리 자음의 경우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은 코드에 따라 4점을 입력할 경우 'ㄱ'으로 변환될 수 있고, 된소리 입력키(6점)와 4점을 입력할 경우 'shift'와 'ㄱ'으로 변환될 수 있으며, 도 4e에 도시한바와 같은 코드에 따라 종성 'ㄱ'이 한번 입력될 경우 키보드의 'ㄱ'으로 변환될 수 있고, 종성 'ㄱ'이 두번 입력될 경우 'shift'와 'ㄱ'으로 변환될 수 있다.
또한, 도 4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성 복자음(ㄲ, ㄳ, ㄵ, ㄶ, ㄺ, ㄻ, ㄼ,ㄽ, [0038] ㄾ, ㄿ, ㅀ, ㅄ 등)의 경우 각자음의 순차 입력을 통해 입력할 수 있고, 종성 복자음 중에서 처음 자음이 약자와 함께 사용될 경우에 도 4g에도시한 바와 같이 종성 복자음 점형이 아닌 후술하는 약자 입력 방식에 따라 입력될 수 있다.
[0039] 한편, 'ㅆ' 받침(3점-4점)은 복자음의 규칙을 적용하지 않고, 후술하는 약자 입력 방식 또는 약어 입력 방식에따라 입력될 수 있다.
[0040] 예를 들어 종성 복자음인 '밝다'를 입력할 경우 '바(4점-5점)'를 먼저 입력하고, 종성 자음 'ㄹ(2점)'을 입력하며, 종성 자음 'ㄱ(1점)'을 입력한 후에, '다(2점-4점)'을 입력하는 방식으로 '밝다'를 입력할 수 있다.
[0041] 둘째, 한글 모음을 입력할 경우 6점자 입력 방식으로 입력하되, 점자 입력키를 1회 사용하여 입력하거나 혹은 2회 사용하여 입력할 수 있다.
[0042] 예를 들면,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ㅏ, ㅐ, ㅑ, ㅓ, ㅔ, ㅕ, ㅖ, ㅗ, ㅘ, ㅚ, ㅛ, ㅜ, ㅝ, ㅠ, ㅡ, ㅢ,ㅣ'와 같은 모음은 한 칸(cell)의 점자, 즉 점자 입력키를 1회 사용하여 입력할 수 있고, 'ㅒ, ㅙ, ㅞ, ㅟ'와같은 모음은 두 칸(cell)의 점자, 즉 점자 입력키를 2회 사용하여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ㅏ'모음을입력할 경우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코드에 따라 처리될 수 있다.
[0043] 그리고, 'ㅇ'는 자음 초성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모음 앞에 자음이 없을 경우 'ㅇ'가 자동적으로 출력될 수있는데, 'ㅣ(1점-3점-5점)'를 입력할 경우 '이'가 출력될 수 있으며, 'ㄴ(1점-4점)'과 'ㅣ(1점-3점-5점)'을 입력할 경우 '니'가 출력될 수 있다.
[0044] 또한, 'ㅙ'는 'ㅘ'와 'ㅐ'가 결합된 모음이기 때문에, 'ㅘ'를 입력한 후에 붙임표(붙임 입력키, 3점-6점)를 입력하고, 'ㅐ'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입력될 수 있으며,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은 코드에 따라 처리될 수있으며, 'ㅟ'는 'ㅜ'와 'ㅐ'가 결합된 모음이므로 'ㅜ'를 입력한 후에 붙임 입력키(3점-6점)을 입력하고, 'ㅐ'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입력될 수 있다.
[0045] 예를 들어 '소화액'을 입력할 경우 'ㅅ(6점)-ㅗ(1점-3점-6점)-ㅎ(2점-4점-5점)-ㅘ(1점-2점-3점-6점)-붙임 입력(3점-6점)-애(1점-2점-3점-5점)-ㄱ(1점)'과 같은 방식으로 붙임 입력키를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는데, 붙임입력키를 입력하지 않을 경우 '소홱'으로 입력될 수 있다.
[0046] 또한, '구애'를 입력할 경우 'ㄱ(3점)-ㅜ(1점-3점-4점)-붙임 입력키(3점-6점)-애(1점-2점-3점-5점)'과 같은 방식으로 붙임 입력키를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는데, 붙임 입력키를 입력하지 않을 경우 '귀'로 입력될 수 있다.
[0047] 한편, 'ㅖ'와 'ㅆ'은 동일한 점형(3점-4점)을 사용하는데, 'ㅖ'의 경우붙임 입력키(3점-6점)을 사용하여 'ㅆ'과구분할 수 있으며, 도 5d에 도시한 바와 같은 코드에 따라 처리될 수 있다.
[0048] 예를 들면, '서예'를 입력할 경우 'ㅅ(6점)-ㅓ(2점-3점-4점)-붙임 입력키(3점-6점)-예(3점-4점)'과 같은 방식으로 입력할 수 있는데, 붙임 입력키를 입력하지 않을 경우 '섰'으로 입력될 수 있다.
[0049] 예외적으로, 혼동을 발생시키는 단어에서는 붙임 입력키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는데, '노예(1점-4점/1점-3점-6점/3점-4점)'이나 '도예(2점-4점/1점-3점-6점/3점-4점)'과 같은 단어에서는 붙임 입력키를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놌' 또는 '돘'으로 입력되어야 하지만, 이러한 단어가 없기 때문에 '노예' 또는 '도예'와 같이 입력될수 있다.
[0050] 셋째, 한글 약자를 입력할 경우 6점자 입력 방식으로 입력하되, '가'를 제외하고 한글 자음과'ㅏ' 모음의 결합문자는 한글 자음만을 입력하며, 'ㅆ'받침 또는 'ㅖ'의 약어 입력키를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다.
[0051] 예를 들면,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를 입력할 경우 'ㄱ(4점)-'ㅏ(1점-2점-6점)'의 방식으로 입력하지 않고 '가(1점-2점-4점-6점)'과 같이 입력할 수 있다.
[0052] 반면에, 가'를 제외한 '나, 다, 라, 마, 바, 자, 카, 타, 파, 하' 등과 같은 9자는 초성 자음 'ㄴ, ㄷ, ㄹ, ㅁ,ㅂ, ㅈ, ㅋ, ㅌ, ㅍ, ㅎ'와 점형이 동일하기 때문에, 초성 자음이 단독으로 사용될 경우 모음 'ㅏ'가 자동으로입력될 수 있으며, '나, 다, 라, 마, 바, 자, 카, 타, 파, 하' 등과 같은 9자가 낱말 또는 문장의 끝에 사용될경우 모음 'ㅏ'의 입력이 생략될 수 있고, '나, 다, 라, 마, 바, 자, 카, 타, 파, 하' 등과 같은 9자의 다음에받침이 있을 경우에도 모음 'ㅏ'의 입력을 생략할 수 있으며,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코드에 따라 처리될 수있다.
예를 들면, '달밤'의 경우 '다(2점-4점)-ㄹ(2점)-바(4점-5점)-ㅁ(2점-5점)'[0053] 과 같이 입력될 수 있고, '반장'의경우 '바(4점-5점)-ㄴ(2점-5점)-자(4점-6점)-ㅇ(2점-3점-5점-6점)'과 같이 입력될 수 있다.
[0054] 또한, '나, 다, 라, 마, 바, 자, 카, 타, 파, 하' 등과 같은 9자 다음에 받침은 없지만 다음 글자가 자음으로연결될 경우 모음 'ㅏ'의 입력을 생략할 수 있는 반면에, '나, 다, 라, 마, 바, 자, 카, 타, 파, 하' 등과 같은9자에 받침이 없고 다음 글자가 모음으로 시작될 경우에는 모음 'ㅏ'를 생략하지 않고 입력할 수 있다.
[0055] 예를 들면, '바다'의 경우 '바(4점-5점)-다(2점-4점)'과 같이 입력될 수 있고, '파도'의 경우 '파(1점-4점-5점)-ㄷ(2점-4점)-ㅗ(1점-3점-6점)'과 같이 입력될 수 있는 반면에, '나이'의 경우
'ㄴ(1점-4점)-ㅏ(1점-2점-6점)-이(1점-3점-5점)'과 같이 입력될 수 있고, '다음'의 경우 'ㄷ(2점-4점)-ㅏ(1점-2점-6점)-으(2점-4점-6점)-ㅁ(2점-6점)'과 같이 입력될 수 있다.
[0056] 한편, '나, 다, 라, 마, 바, 자, 카, 타, 파, 하' 등과 같은 9자에 'ㅆ(3점-4점)'받침 도는 모음 'ㅖ(3점-4점)'이 이어지는 경우가 있는데, '나, 자, 타' 다음에 '3점-4점'이 입력될 경우 '났, 잤, 탔'과 같이 출력될 수있고, '하' 다음에 '3점-4점'이 입력될 경우 '혜'로 출력될 수 있고, '파' 다음에 '3점-4점'이 입력될 경우'폐'로 출력될 수 있다.
[0057] 예를 들면, '났'의 경우 '나(1점-4점)-ㅆ(3점-4점)'과 같이 입력될 수 있고, '혜'의 경우 '하(2점-4점-5점)-ㅖ(3점-4점)'과 같이 입력될 수 있으며, '폐'의 경우 '파(1점-4점-5점)-ㅆ(3점-4점)'과 같이 입력될 수 있고, '팠다'의 경우 'ㅍ(3점-4점)-ㅏ(1점-2점-6점)-ㅆ(3점-4점)'과 같이 입력될 수 있다.
[0058] 그 외에 '다, 마, 바, 카' 다음에 '3점-4점'이 입력될 경우 '뎨, 몌, 볘, 켸'로 출력되지만 사용되지 않으며,사용되지는 않지만 '닸, 맜, , '으로 입력하기 위해서는 '팠'과 같은 방식으로 입력할 수 있다.
[0059] 그리고, ''와 같은 약자는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은 코드에 따라 처리될 수 있는데, 초성 자음 'ㅅ, ㅆ, ㅈ,ㅉ, ㅊ'의 다음에 ' '이 입력될 경우 '성, 썽, 정, 쩡, 청'과 같이 입력될 수 있다.
[0060] 예를 들면, '성경'의 경우 'ㅅ(6점)-(1점-2점-4점-5점-6점)-ㄱ(4점)- (1점-2점-4점-5점-6점)'과 같이 입력될 수 있고, '정성'의 경우 'ㅈ(4점-6점)- (1점-2점-4점-5점-6점)-ㅅ(6점)- (1점-2점-4점-5점-6점)'과같이 입력될 수 있다.
[0061] 한편, 약자에 다른 자음이 추가될 경우 약자를 그대로 입력한 후 나머지 자음을 입력할 수 있는데, '까치'의 경우 '된소리 입력키(6점)-까(1점-2점-4점-6점)-ㅊ(5점-6점)-ㅣ(1점-3점-5점)'과 같이 입력될 수 있다.
[0062] 넷째, 한글 약어를 입력할 경우 6점자 입력 방식으로 입력하되, 접속사별로 지정되어 있는 약어 입력키를 입력할 수 있다.
[0063] 예를 들면,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러면, 그런데, 그리고' 다음에 어미가 이어질 경우 이들을 약어로 사용할 수 있다.
[0064] 예를 들면, '그러면서'의 경우 '그러면(1점/2점-5점)-ㅅ(6점)-ㅓ(2점-3점-4점)'과 같이 입력될 수 있고, '그러면서도'의 경우 그러면(1점/2점-5점)-ㅅ(6점)-ㅓ(2점-3점-4점)-ㄷ(2점-4점)-ㅗ(1점-3점-6점)'과 같이 입력될 수있으며, '그런데도'의 경우 '그런데(1점/1점-3점-4점-5점)-ㄷ(2점-4점)-ㅗ(1점-3점-6점)'과 같이 입력될 수 있고, '그리고는'의 경우 '그리고(1점/1점-3점-6점)-는(1점-3점/1점-3점-5점-6점)'과 같이 입력될 수 있다.
[0065] 또한, '그리고'를 입력할 경우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코드에 따라 처리될 수 있는데, '1점'이 입력된 상태에서 '1점-3점-6점'이 입력될 경우 키보드의 'ㄱ, ㅡ, ㄹ, ㅣ, ㄱ, ㅗ'로 변환되도록 할 수 있다.
[0066] 반면에, '그리고'가 부사가 아닌 동사나 형용사로 사용될 경우 약어로 입력하지 않는데, '그림을 그리고'에서'그리고'를 입력할 경우 'ㄱ(4점)-ㅡ(2점-4점-6점)-ㄹ(5점)-ㅣ(1점-3점-5점)-ㄱ(4점)-ㅗ(1점-3점-6점)'과 같이입력될 수 있으며, '그리고'가 낱말의 일부로 사용될 경우에도 약어로 입력하지 않는데, '얼굴을 찡그리고'에서'찡그리고'를 입력할 경우 '된소리 입력키(6점)-ㅉ(4점-6점)-ㅣ(1점-3점-5점)-ㅇ(2점-3점-5점-6점)-ㄱ(4점)-ㅡ(2점-4점-6점)-ㄹ(5점)-ㅣ(1점-3점-5점)-ㄱ(4점)-ㅗ(1점-3점-6점)'과 같이 입력될 수 있다.
다섯째, 숫자를 입력할 경우 6점자 입력 방식으로 입력하되, 수표 [0067] 입력키를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다.
[0068] 예를 들면,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숫자임을 표시하는 수표 입력키(3점-4점-5점-6점)를 입력한 후에 숫자에대응하는 숫자 입력키를 입력할 수 있는데, 자음과 동일한 점형이 있기 때문에, 숫자 다음에 초성 자음 'ㄴ,ㅍ, ㅁ, ㅋ, 약자 , ㅌ, ㄷ, ㅎ'이 이어지는 경우 숫자 입력 후에 붙임 입력키(3점-6점)를 입력할 수 있다.
[0069] 예를 들면, '1년'을 입력할 경우 '수표 입력키(3점-4점-5점-6점)-1(1점)-붙임 입력키(3점-6점)-년(1점-4점/1점-6점)'과 같이 입력할 수 있고, '3명'을 입력할 경우 '수표 입력키(3점-4점-5점-6점)-3(1점-4점)-붙임 입력키(3점-6점)-명(1점-5점/1점-2점-4점-5점-6점)'과 같이 입력할 수 있다.
[0070] 여기에서, 종성 자음 'ㄱ, ㅂ'은 숫자 '1, 2'와 동일한 점형을 갖지만, 종성 자음부터 시작되는 단어는 없기 때문에 붙임 입력키의 입력이 필요하지 않다.
[0071] 그리고,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코드에 따라 붙임 입력키를 이용한 숫자 입력을 처리할 수 있는데, 붙임 입력키(3점-6점)의 선택 입력에 따라 동일한 점형이 입력될 경우 숫자로 변환할 것인지, 혹은 초성 자음으로 변환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다.
[0072] 또한, 숫자를 입력한 후에 모음 21자와 약자
( )가 이어지는 경우 숫자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숫자 입력 후에 붙임 입력키를 입력하지 않고, 숫자를 입력한 후에 초성 자음 'ㄱ, ㄹ, ㅂ, ㅅ, ㅈ,ㅊ'과 약자 '가, 사, '이 이어지는 경우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숫자 입력 후에 붙임 입력키를 입력하지 않는다.
[0073] 여섯째, 문장부호를 입력할 경우 6점자 입력 방식으로 입력하되, 복수의 기능 입력키 중에서 백스페이스키 및엔터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다.
[0074] 예를 들면, 7점을 백스페이스키, 8점을 엔터키라고 할 경우 백스페이스키 및 엔터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면서 6점자 입력키를 이용하여 문장부호에 대응하는 문장부호 입력키를 입력함으로써, 도 9a에 도시한 바와같이 다양한 문장부호를 입력할 수 있다.
[0075] 예를 들면, 3점-6점-8점을 한번 입력할 경우 소괄호 닫기 문장부호인 ')'가 입력될 수 있고, 두번 입력할 경우물결 표시 문장부호인 '~'가 입력될 수 있으며, 대시 문장부호인 '-'의 입력을 위한 3점-6점-7점-8점과 빼기 문장부호인 '-'의 입력을 위한 3점-5점-7점은 서로 다른 점형을 이용하지만, USB HID Keyboard Standard Code에따라 동일한 문장부호인 '-'가 입력될 수 있다.
[0076] 동일하게, '큰따움표, 여는 큰따움표, 닫는 큰따움표' 또한 서로 다른 점형을 이용하여 입력되지만, USB HIDKeyboard Standard Code에 따라 동일한 문장부호()로 입력될 수 있고, '작은따움표, 여는 작은따움표, 닫는 작은따움표' 또한 서로 다른 점형을 이용하여 입력되지만, USB HID Keyboard Standard Code에 따라 동일한 문장부호(')로 입력될 수 있다.
[0077] 상술한 바와 같은 문장부호는 입력될 경우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코드에 따라 처리될 수 있는데, 점자가 입력될 경우 USB HID Keyboard Standard Code에 따라 키보드에 존재하는 문장부호로 변환되어 입력될 수 있다.
[0078] 일곱째, 명령어를 입력할 경우 6점자 입력 방식으로 입력하되, 복수의 기능 입력키 중에서 스페이스키를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다.
[0079] 예를 들면, 시각 장애인의 경우 문서 내에서 문장의 편집이나 TTS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커서의 이동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데, 안드로이드 OS 환경 및 윈도우 OS 환경에서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페이스키를 이용하면서 6점자 입력키에 설정된 커서 이동 입력키를 입력함으로써, 커서 이동을 입력할 수 있다.
[0080] 예를 들면,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코드에 따라 처리될 수 있는데, 스페이스키와 3점을 입력할 경우 왼쪽화살표가 입력되어 커서가 왼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IOS 환경과 MAC OS 환경에서는 도 10c 및 도 10d에 도시한 바와 같이 [0081] 다른 운영체제와는 다른 키코드커맨드(Key Code Command)를 사용할 수 있는데, '*opt'는 일반 키보드에서 windows key에 대응되고, '**cmd'는 일반 키보드에서 alt key에 대응되며, 도 10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앱 선택, 화면 전환, 앱 실행 등의 명령어 표를이용하여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고, 도 10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서 내에서 커서 이동, 복사, 붙여넣기, 되돌리기, 다시 실행 등의 명령어 표를 이용하여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다.
[0082] 이와 함께, 도 10e는 IOS 환경 또는 MAC OS 환경에서 사용되는 사파리(safari)에서 사용되는 단축키를 나타내는것으로, 이를 이용하여 사파리에서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다.
[0083] 한편, 점자 입력 장치는 다양한 운영체제를 사용할 수 있는데, 각 운영체제는 서로 다른 키코드(Keycode)를 사용하기 때문에, 점자 입력 장치에는 각 운영체제를 변환하는 운영체제 모드 설정이 필요하며, Android, IOS,Windows, MAC 등의 OS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0084] 이를 위해서 도 10f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글키와 6점자 입력키 중 지정된 운영체제 변환키를 입력함으로써, 운영체제 모드를 쉽게 변환할 수 있는데, 도 10g에 도시한 바와 같은 코드에 따라 Default OS MODE 0인 안드로이드에서 OS MODE 1인 IOS로 운영체제 모드를 변환시킬 수 있다.
[0085] 여덟째, 영어를 입력할 경우 6점자 입력 방식으로 입력하되, 복수의 기능 입력키 중에서 한영 변환키를 이용하 한글과 영어를 변환하여 입력하거나, 복수의 기능 입력키 중에서 스페이스키 및 엔터키를 이용하여 한글을영어로 변환하여 입력하거나, 복수의 기능 입력키 중에서 스페이스키 및 백스페이스키를 이용하여 영어를 한글로 변환하여 입력할 수 있다.
[0086]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a)에서 한글에서 영어로 전환되고, (b)에서 영어에서 한글로 전환되는코드를 나타내는데, 운영체제에 따라 한글과 영어의 키코드가 다르기 때문에, 운영체제 모드를 변경하는 코드를추가로 삽입할 수 있다.
[0087] 제어부(120)는 입력부(110)가 구비되는 웨어러블 밴드의 내부에 구비되며,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점자키값에 대응하는 한글, 영어 및 숫자로 변환할 수 있다.
[0088] 이러한 제어부(120)는 한글, 숫자 및 영어가 입력될 경우 점자키값을 한글, 숫자 및 영어로 변환한 후에, 한글,숫자 및 영어에 대응하는 키코드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점자키값을 한글, 숫자 및 영어로 변환하는 것은복수의 기능 입력키 중 어느 하나의 키(예를 들면, 스페이스키 등)를 입력할 경우 변환하도록 설정될 수 있음은물론이다.
[0089] 예를 들면, 제어부(120)에서는 입력부(110)를 통해 다양한 점자키값이 입력될 경우 이를 입력 버퍼에 대기시킨후에, 스페이스키가 입력될 경우 전송버퍼에서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은 키코드로 변환할 수 있다.
이후 변환된 키코드를 한글, 숫자 및 영어로 디스플레이하도록 통신모듈부(130)를 통해 통신단말기(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0090] 예를 들면, 도 1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1k'가 입력된 후 변환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숫자를 표시하는 수표 입력키(3점-4점-5점-6점)을 입력하고, 숫자 '1'에 대응하는 1점을 입력하며, 영어 'k'에 대응하는 1점-3점을입력하면 입력버퍼(InputBuffer)에 저장될 수 있다.
[0091] 이러한 입력버퍼는 2차원 배열 형태로 가로 25, 세로 8의 크기를 가지는 행렬 형태로 제공되며, 세로 8개 행에서 1-6행은 각각 1점에서 6점의 값을 저장하고, 7행은 백스페이스키, 8행은 엔터키를 저장할 수 있다.
[0092] 이에 따라, 수표 입력키(3점-4점-5점-6점), 숫자 1(1점), 영어 k(1점-3점)은 입력버퍼의 1열, 2열 및 3열에 각각 저장될 수 있고, 통신단말기(200)로 전송하기 위해 스페이스키가 입력될 경우 제어부(120)에서는 입력버퍼에저장된 점자키값을 숫자와 영어 알파벳으로 변환하고, 전송버퍼(SendBuffer)에 저장시킬 수 있다.
[0093] 이러한 전송버퍼는 2차원 배열 형태로 가로 25, 세로 2의 크기를 갖는 행렬 형태로 제공되며, 첫번째 행은Shift, Ctrl 등의 특수키가 저장될 수 있고, 두번째 행은 숫자, 한글 및 영어가 저장될 수 있다.
[0094] 여기에서, '1k'는 숫자와 영어소문자 모두 Shift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전송버퍼의 첫번째 행은 None로 표시될 수 있고, 두번째 행은 '1'과 'k'가 저장될 수 있다.
[0095] 그리고, 전송버퍼에 저장이 완료된 후, 도 12a에 도시한 바와 같은 키코드(USB HID keyboard Standard Code)에따라 '1'과 'k'는 헥사형식의 키코드인 '0x1E'와 '0x0E'로 각각 변환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120)에서는 해당 키코드를 통신모듈부(130)를 통해 통신단말기([0096] 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0097] 한편, 약어 '그리고'에 대한 입력 시에는 도 1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자 표시 방식에 따라 1점 입력과, 1점-3점-6점 입력을 통해 입력버퍼에 저장한 후, 스페이스키가 입력될 경우 'ㄱ, ㅡ, ㄹ, ㅣ, ㄱ, ㅗ'에 대응하는'r, m, f, l, r, h'가 전송버퍼에 저장될 수 있다.
[0098] 이 후, 도 12a에 도시한 바와 같은 키코드에 따라 헥사형식의 키코드로 변환한 후 통신모듈부(130)를 통해 통신단말기(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0099] 통신모듈부(130)는 웨어러블 밴드의 내부에 구비되며,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한글, 영어 및 숫자를 전송하는 것으로, 블루투스(Bluetooth) 등을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적용하여 통신단말기(200)에 변환된키코드를 전송할 수 있다.
[0100] 통신단말기(2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과 같이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웨어러블 밴드형 점자 입력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키코드를 이용하여 대응하는 한글, 영어 및 숫자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단말기(200)는 다양하게 제시되어 있으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0101] 따라서, 본 발명은 웨어러블 밴드 형태로 구비되어 6점자 입력 방식으로 점자를 쉽게 입력할 수 있는 웨어러블밴드형 점자 입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0102] 또한, 본 발명은 웨어러블 밴드 형태로 제공되는 입력부를 통해 입력하고자 하는 한글, 영어 및 숫자를 6점자입력 방식으로 입력하고, 입력된 점자키값에 대응하는 한글, 영어 및 숫자로 변환한 후 전송함으로써, 쉽게 착용 가능하면서 소형화 및 경량화되어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간단한 구성으로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0103]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부호의 설명
[0104] 100 : 웨어러블 밴드형 점자 입력 장치
110 : 입력부
120 : 제어부
130 : 통신모듈부
200 : 통신단말기 

등록된 상품문의

  •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등록된 사용후기

  • 사용후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