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권

쌀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코올 중독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상품번호 2019032509105161
IPC 한국(KO) 등록
출원번호 1020110010782
공개번호 10-2012-0099321
등록번호 1012298780000
출원인 대한민국
판매가 0원
 

꼭 읽어보세요!

기술거래는 양방향 경매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기술을 매수한 당사자는 거래금액의 전부 혹은 10퍼센트(%)를 당일 본원에 입금하여야 하며, 10% 나머지 잔금은 거래일로부터 2일 이내(거래일 익일)에 납부하여야 합니다. 만약 위 지정 기간내에 매수자가 입금하지 않으면 거래는 무효가 되며, 잔금도 기한내에 입금되지 않으면 매도자로 귀속됩니다. 이는 매도자의 기한의 이익상실을 보장함 입니다.

기술거래의 수수료는 기술의 이전 및 사업화 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산업통상자원부령 제48호 의거 기술이전 금액의 13퍼센트∼기술이전 금액의 17.5퍼센트로 되어있지만, 본 거래사이트에서는 매도‧매수인 각각 10%로 합니다.
이때 매수인의 매수금액(당사로 입금되는 금액)에서 수수료 각각10% 인 20%를 공제한 후 매도인에게 계좌이체를 하여야 합니다.
또한 권리이전(특허)비용은 기술양수인(매수자)부담이며 그 비용은 별도입니다.

 
본 발명은 신품종인 밀양 263호를 비롯한 쌀, 쌀의 배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코올 중독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밀양 263호는 거대배 발달 유전자를 포함하는 흑찰거대배를 갖는 벼 식물체로, 기존 문제되었던 거대배 품종의 등숙 문제를 개선하였으며, 표면이 매끄러워 수확에 유리하며, 곡립에 안토시아닌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특히 상기 밀양 263호를 비롯한 쌀은 기능성 성분에 의하여 알코올 중독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이므로 약학 조성물이나 건강식품에 사용될 수 있어, 벼의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고 쌀 산업의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다.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발아시킨 쌀, 발아시킨 쌀의 배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 중독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청구항 2
삭제
청구항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쌀은 일반미, 유색미 또는 거대배아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 중독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청구항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쌀은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흑찰거대배 벼 식물체 밀양 263호의 곡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 중독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청구항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은 번역 후에 395번째 아미노산으로 류신을 코드하는 염기서열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 중독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청구항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밀양 263호는 YR23517Acp79 품종을 모본으로 하고 조생흑찰 품종을 부본으로 하여 교잡한 후대에서 선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 중독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청구항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 ~ C4의 알코올 및 에틸아세테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혼합 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 중독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청구항 8
발아시킨 쌀, 발아시킨 쌀의 배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 중독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청구항 9
삭제
청구항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 ~ C4의 알코올 및 에틸아세테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 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 중독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명 세 서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신품종인 밀양 263호를 비롯한 쌀, 쌀의 배 또는 이의 추출물을 [0001] 포함하는 알코올 중독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0002] 알코올 중독은 다양한 유전적, 심리적 그리고 환경적 요인에서 비롯하는 만성 질환이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알코올 중독 관련 폐해 현황을 보면 20세 이상 성인중 알코올 남용과 알코올 의존을 합한 알코올 사용장애 평생유병율은 전 인구의 16.2%로 추산되고(2006, 보건복지부), 1년 유병율은 5.6%인 180만명으로 추산되고 있다.또한, 음주로 인한 의료비·조기사망·재산피해 및 생산성 감소 등 사회경제적 손실비용을 보면 2006년 기준총 23조 4,431억원(GDP 대비 2.8%)에 달하고 있다. 특히 음주로 인한 직간접 진료비는 3조 2천억원(2005)에서 6조1천억원(2009)으로 4년 사이 1.9배나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2010, 국민건강보험공단).
[0003] 우리나라에서의 알코올 중독 환자 유병률은 세계적인 수준으로서 알코올 중독환자의 높은 유병률에 대한 근거로사회적인 음주 문화이외에는 뚜렷이 설명할 수 있는 원인이 없는 실정이다. 현재 알코올 중독의 치료는 심리학적 접근과 병행한 몇가지 치료 약물(naltrexone, acamprosate 등) 이외 다른 치료 방법이 전무한 상태이다.
[0004] 천연식물은 항산화제, 항염증, 항암 등을 포함하는 생리활성물질의 원천으로서 많은 관심을 끌어 왔고, 천연식물 내 항산화 물질은 생체 내에서 발생한 활성산소의 해독을 위해서 중요한 작용을 하며, 이는 활성산소의 발생을 막는 시스템, 활성산소를 빠르게 안정화하는 시스템, 활성산소에 의한 손상을 재생하는 시스템 등으로 밝혀져 있다.
[0005] 검정쌀로 알려진 흑미에 있는 안토시아닌은 상기 언급한 강한 항산화효과와 더불어, 암 예방, 면역력 강화에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흑미는 미네랄이 풍부해 알칼리 성질을 띤다. 알칼리성 식품은 여러 공해 물질들과 음식 산화물로 산화된 몸을 중화시켜 각종 염증 질환을 막는 효과가 있다. 특히 미네랄 중 셀레늄의 함량이 가장 높은데, 흑미에 든 셀레늄은 간세포를 활성화시킬 뿐 아니라 간세포 파괴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0006] 찹쌀은 멥쌀과 대응되는 말로, 나미(??米) 또는 점미(??米)라고도 한다. 보통 밥을 짓는 멥쌀은 배젖이 반투명한데, 찹쌀은 유백색으로 불투명하므로 구별할 수 있다. 또 찹쌀의 녹말은 대부분 아밀로펙틴으로 이루어져있고 찹쌀의 경우 찰진 기운이 높고, 멥쌀보다 소화가 잘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찹쌀 추출물 중프롤라민 성분이 위궤양에 효과가 있다는 보고도 있다.
[0007] 거대배아미는 벼의 기능성 성분의 대부분이 함유되어 있는 배가 정상종자보다 2∼5배 큰 쌀로서 항산화성 비타민류인 레티놀, 루테인(Lutein), 토코페롤, 라이신, 리보플라빈, 티아민, 피토스테롤 및 팔믹산, 올레익산과 고혈압 예방 및 신경안정물질인 감마-아미노부티릭산(GABA:γ-amino butyric acid) 등 각종 기능성 성분함량이 다른 품종에 비해 월등히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0008] 최근의 보고에 의하면 항산화 물질에 의한 활성산소의 제거가 뇌의 감마-아미노부티릭산(GABA) 대사와 관련되어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0009] 한편, 최근 벼 산업은 쌀 수입량의 증가와 국내 벼 재배면적의 감소 및 쌀 소비량의 감소 등으로 인해 심각한 위기에 처해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국민의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와 함께 기능성 쌀의 수요는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경쟁력 있는 쌀 산업 육성을 위해 쌀의 품질을 높이고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는다양한 기능성 벼 품종의 개발이 시급하다.
[0010] 기능성 벼 품종 중 거대배 벼 품종은 현재까지 주로 돌연변이 물질인 MNU(홍 등, 2006; Hirosh 등, 2001) 또는방사선의 일종인 감마선(Kageyama 등, 2001) 등을 종자에 처리하여 개발되었다. 거대배 유전자는 벼의 7번염색체에 위치하고 있으며 (Nagasawa, 2002; Koh, 1996) 시토크롬(Cytochrome) P450 유전자 특정 염기서열의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ahoon 등, US Patent No Us 2003/0126645 A1).하지만 이와 같이 현재까지 알려진 거대배 벼 품종들은 배의 크기가 충분히 [0011] 크지 않으며 등숙이 불량하여 콤바인 등 기계수확에 불리하고, 취반특성 및 관능성에서 다소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안토시아닌 등의 영양성분을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어,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품종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0012]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 우량계통벼를 비롯한 쌀,쌀의 배 또는 이의 추출물이 알코올 중독에 예방, 치료 효과가 있음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되었다.
[0013]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품종들의 단점을 해결하고 영양성분 등이 강화된 흑찰거대배를 갖는 벼 식물체를비롯한 다양한 벼의 곡립인 쌀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코올 중독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
[0014] 본 발명은 쌀, 쌀의 배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코올 중독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특징으로 한다.
[0015] 또한 본 발명은 쌀, 쌀의 배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코올 중독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을 또다른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0016] 본 발명이 제공하는 밀양 263호는 거대배 발달 유전자를 포함하는 흑찰거대배를 갖는 벼 식물체로, 기존 문제되었던 거대배 품종의 등숙 문제를 개선하였으며, 표면이 매끄러워 수확에 유리하며, 곡립에 안토시아닌 성분을함유하고 있다. 특히 상기 밀양 263호를 비롯한 쌀은 기능성 성분에 의하여 알코올 중독의 예방 및 치료에효과적이므로 약학 조성물이나 건강식품에 사용될 수 있어, 벼의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고 쌀 산업의 경쟁력을제고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0017] 도 1은 흑찰거대배 벼 식물체'밀양 263호'의 배의 크기와 현미색을 나타내는 곡립 사진이다.
도 2는 거대배 발달에 관여하는 get 유전자의 아미노산 서열 및 변이가 일어난 부분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3은 알코올 중독 쥐에 대하여, 현미의 종류별 전체 실험 기간 동안 알코올 섭취량 변화를 나타낸 비교 그래프이다.
도 4는 알코올 중독 쥐에 대하여, 발아 현미 분쇄물의 종류별 전체 실험 기간 동안 알코올 섭취량 변화를 나타낸 비교한 그래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0018] 본 발명은 쌀, 쌀의 배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코올 중독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거대배 찰벼인'YR23517Acp79'를 모본으로 하고 흑찰벼 품종인'조생흑찰'을 부본으로 하여 인공교배하여 육성한 신품종으로 흑찰거대배를 갖는 벼 식물체인'밀양 263호'를 비롯한 쌀의 알코올 중독 예방 및 치료효과에 관한 것이다.
[0019] 본 발명에서 배(胚)는 식물종자 조직 내에 장차 차세대 식물체가 되는 부분으로 배아, 씨눈으로 명명되기도 한다.본 발명이 제공하는'밀양 263호'는 벼 꽃가루 배양에 의해 시토크롬 P450의 [0020] 유전자 염기서열에 돌연변이가 발생된 거대배 발달 유전자 get를 포함하는 흑찰거대배를 갖는 벼 식물체이며, 본 발명은 상기 식물체로부터 얻은 곡립 자체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코올 중독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0021]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0022] 먼저 본 발명에서 모본으로 사용된'YR23517Acp79'는 거대배를 가지는 찰벼로서 다음과 같은 과정에 의해 선발할수 있다.
[0023] 1) 벼품종 화청벼를 모본으로 하고 상주찰벼를 부본으로 하여 인공교배한 교잡식물체(YR23517)를 재배한다.
[0024] 2) 1핵기 초·중기의 화분발육상태를 보이는 이삭을 채취한 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약배양을 수행한다.
[0025] 3) 채취한 이삭을 2ppm NAA, 0.2ppm 카이네틴 등이 포함된 N6-Y2 배지에 치상한 후 15 일간 저온처리한 후 25℃ 에서 30 ~ 40 일간 배양하여 캘러스를 유기한다.
[0026] 4) 유기된 캘러스는 0.2ppm IAA, 2ppm 카이네틴 등이 포함된 N6-Y2 배지로 옮긴 후 약 30 일간 배양하여 식물체를 재분화한다.
[0027] 5) 식물체를 배양병으로 이식하여 뿌리발생을 유도한 후 토양에 이앙하여 각 식물체의 종자를 수확한다.
[0028] 6) 수확한 종자를 다시 토양에 이앙하여 각 식물체의 곡립특성을 분석하여 배(씨눈)가 큰 거대배 찰벼 식물체를선발할 수 있다.
[0029] 본 발명에 사용된 거대배 찰벼'YR23517Acp79'식물체는 한 포기에 여러 분얼(tiller)을 가지고 있는 바, 상기 거대배 찰벼 식물체의 분얼을 인위적으로 분리하여 다시 옮겨 심는 방법을 통해 무성번식할 수 있으며, 종자를 이용한 번식을 통해서도 특성의 변화 없이 증식이 가능하다. 상기 YR23517Acp79는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서둔동 소재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센터에 2009년 2월 12일자 기탁번호 KACC98006P로 기탁되어 있으며, 상기 기관 등을 통해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다.
[0030] 모본인 'YR23517Acp79'는 배유의 특성이 찰성이고 곡립표면에 안토시아닌 축적이 되지 않아 현미색은 황백색인특징을 가지며, 대립유전자 get의 작용에 의해 배유가 큰 거대배의 특징을 보이나 등숙이 매우 불량하여 천립중이 일반적인 벼 품종에 비해 낮은 단점이 있다.
[0031] 따라서 본 발명은 'YR23517Acp79'의 단점을 개량하고 동시에 현미에 안토시아닌 축적이 되는 새로운 벼 식물체를 개발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등숙이 일반벼 품종 수준으로 양호하고현미에 안토시아닌 축적이 되어 현미색이 흑색인 벼 품종인 '조생흑찰'을 'YR23517Acp79'와 인공교배한 후 그후대에서 흑찰거대배의 특징을 지니는 밀양263호를 육성하였다.
[0032] 본 발명에서 부본으로 사용된 흑찰벼 품종인'조생흑찰'은 농촌진흥청에서 육성된 신품종으로 현재 우리나라에서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쉽게 구할 수 있는 품종으로 수확량은 평균 461kg/10a이다.
[0033] 본 발명의 흑찰거대배 벼 식물체인'밀양 263호'를 육종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0034] 먼저'YR23517Acp79'를 모본으로 하고 흑찰벼 품종인'조생흑찰'을 부본으로 인공 교배하여 교잡종(F1)을 육성한다. 본 교배조합에서 선발목표가 되는 현미특성인 거대배, 찰성, 안토시아닌 생합성을 각각 지배하는 벼의유전자는 염색체상의 위치가 서로 달라 각각 독립적으로 유전하는 바, 일반적인 교배조합에서 세가지 형질을 동시에 가질 수 있는 식물체를 선발할 수 있는 확률은 분리세대(F2)에서 이론적으로 1/64이나 본 교배조합에서는모본과 부본 모두 찰성인 wx 유전자를 가짐으로 모든 교잡후대가 찰성으로 나타나 wx 유전자에 대해서는 선발할필요가 없어 거대배인 특성을 가지며 동시에 안토시아닌 축적이 되는 계통들만을 선발하면 되므로 그 이론적인선발 확률을 1/16으로 크게 높일 수 있었다. 교잡종(F1)의 식물체의 이삭에서 발생된 분리세대(F2) 종자를 일반적인 집단육종법에 의해 잡종 제3세대(F3)까지 선발 없이 전개한 후 잡종 제4세대 종자(F4 Seed)를 식물체별로 수확하였으며 수확한 제4세대 종자를 일반적인 계통육종법에 의해 계통별로 포장에 공시하였다. 잡종제4세대 식물체가 생육을 개시하여 등숙기에 도달하였을 때 각 계통별 식물체에 결실된 종자 일부를 채취하여종피를 제거한 후 현미의 배를 관찰한 결과 거대배를 갖는 식물체와 일반벼 크기의 배 크기를 갖는 식물체를 구분할 수 있었으며, 계통내의 식물체에서 결실된 종자가 모두 거대배의 특징을 보이는 고정된 계통들을 선발한후 이듬해 생산력 검정시험에 공시하였다.그 결과, 흑미이면서 찰벼이고 거대배를 갖는 특징을 나타내며, 종자의 등숙성이 개선된 [0035] 계통인 YR25277-B-B-314-2를 교잡 5세대(F5)에서 선발하여'밀양 263호'로 명명하였다.
[0036] 본 발명의 밀양263호는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서둔동 소재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센터에 2010년 6월 30일자기탁번호 KACC98009P로 기탁하였다.
[0037] 본 발명에 사용된 흑찰거대배 벼'밀양 263호'식물체는 한 포기에 여러 분얼을 가지고 있는 바, 상기 식물체의분얼을 인위적으로 분리하여 다시 옮겨 심는 방법을 통해 무성번식할 수 있으며, 종자를 이용한 번식을 통해서도 특성의 변화 없이 증식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흑찰거대배 벼'밀양 263호'식물체는 유전자 재조합을 이용하여 식물체를 형질전환시켜 제조하는 것도 역시 가능하다. 벼의 형질전환을 위하여 채택될 수 있는 방법은 특별한 한정을 요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체외 배양체 또는 현탁세포의 미량투사 충격투입법 및 직접적 유전자 흡수법 또는 원형질체의 전기 천공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0038] 본 발명의 흑찰거대배 벼 식물체'밀양 263호'는 벼의 사이토크롬 P450의 395번째 아미노산이 트립토판(W)에서류신(L)으로 변형된 거대배 발달에 관여하는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진다(도 2).
[0039] 서열번호 3은 본 발명에 포함된 흑찰거대배 벼 식물체'밀양 263호'가 가지는 거대배 발생에 관여하는 대립유전자인 get유전자의 아미노산 서열이다. 서열번호 3은 520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며, 시트크롬 P450의 395번째 아미노산이 트립토판(W)에서 류신(L)으로 변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유전자를 가진 벼는 배의 크기가 커진 거대배가 된다.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은 본 발명에 포함된 흑찰거대배 벼 식물체'밀양263호'의 유숙기 종실 중 배로부터 추출한 RNA로부터 RT-PCR 및 클로닝 방법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다.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get
[0040] 유전자는 향후 흑찰거대배 벼 식물체 육종 시 실용적인 선발 표지로 이용할 수 있으며, 흑찰거대배 벼 식물체는 곡립뿐만 아니라 벼의 배 및 배 함유성분을 이용한 제품 생산의 재료로도 이용할 수 있다.
[0041] 기존 YR23517Acp79 품종의 현미의 경우 배의 무게가 정상적인 벼 품종보다 3 배 정도 큰 거대배를 갖는 찰벼이나 농업적으로는 등숙이 불량하며, 곡립에 안토시아닌 성분이 없으며, 표면이 고르지 못해 수확 시 용이하게 수확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현재 국내 농가에 보급되고 있는 기존 흑찰벼의 특성을 가지는벼 품종'조생흑찰'의 경우 곡립에 안토시아닌을 함유하고 있으나 배의 크기가 일반적인 벼 품종이 가지는 범위에 속해 배에 특이적으로 많이 존재하는 GABA 등 우수한 영양성분의 함량이 높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발명의 밀양 263호는 YR23517Acp79 품종에 비해 등숙이 크게 개선되었으며, 곡립에 안토시아닌 성분이 120mg/100g 이상으로 함유하고 있고, 표면이 매끄러워 수확이 훨씬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어 상기 두 품종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42] 즉 본 발명의 밀양 263호는 거대배 찰벼인 YR23517Acp79 품종의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동시에 등숙을 개선하고곡립에 안토시아닌 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기존의 벼 품종보다 형질적으로 우수한 신품종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0043] 결국, 본 발명은 상기 밀양 263호를 비롯한 다양한 쌀, 쌀의 배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코올 중독 예방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특징으로 한다.
[0044] 상기 쌀은 그 종류가 한정되지 아니하여 일반미, 일반미 배, 유색미, 유색미 배, 거대배아미, 거대배아미 배,찰성 거대배아미, 찰성 거대배아미 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흑찰 거대배아미인 '밀양 263호'를포함한다.
[0045] 상기 밀양 263호는 비타민류인 토코페롤, 라이신, 리보플라빈, 티아민, 피토스테롤, 팔미르산 및 올레익산 등을함유하고 있으며, 특히 항산화성 안토시아닌, 감마-아미노부티릭산(GABA)의 함량이 일반 쌀에 비하여 높은 함량으로 포함되어 알코올 중독의 치료 및 예방에 효과적이다.
[0046] 또한 상기 쌀은 발아시킨 것을 사용하면 기능성 성분이 증가하여 알코올 중독의 치료 및 예방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상기 쌀 또는 쌀의 배 추출물은 당업계에 널리 알려진 일반적인 추출 용매를 [0047]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추출될수 있으며, 추출 용매로는 물, C1 ~ C4의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 바람직하게는물, C1 ~ C4의 저급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나,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추출 용매의 양은 쌀 중량의 1 ~ 50 배로 함이 바람직하고, 5 ~ 30 배로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추출 방법은 열수추출, 침지 추출, 환류 냉각추출 및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0048] 상기 알코올 중독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쌀 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경구 제제로서 드레싱제, 패취제, 밴드, 연고제 등의 피부외용제 또는 주사제로 제제화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며, 식이에 의한 방법이므로 기존의 치료용약과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0049]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은 현미나 분말과 추출물을 이용한 가공품, 그리고 밥의 형태로서 섭취가 가능하고, 그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건강식품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0050]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0051] <실시예 1> 약배양에 의한 거대배 벼 YR23517Acp79의 선발
[0052] 화청벼를 모본으로 하고 상주찰벼를 부본으로 하여 인공교배한 교잡식물체(YR23517)를 재배하였다. 1핵기초·중기의 화분발육상태를 보이는 이삭을 채취한 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약배양을 수행하였다. 채취한이삭을 2ppm NAA, 0.2ppm 카이네틴 등이 포함된 N6-Y2 배지에 치상한 후 15 일간 저온처리한 후 25 ℃ 에서 30일간 배양하여 캘러스를 유기하였다.
[0053] 유기된 캘러스는 0.2ppm IAA, 2ppm 카이네틴 등이 포함된 N6-Y2 배지로 옮긴 후 약 30 일간 배양하여 식물체를재분화하였다. 식물체를 배양병으로 이식하여 뿌리발생을 유도하고 토양에 이앙한 후 각 식물체의 종자를 수확하였다. 수확한 종자를 다시 토양에 이앙하여 각 식물체의 곡립특성을 분석한 후 배가 큰 거대배찰벼 식물체YR23517Acp79를 선발하였다.
[0054] <실시예 2> 흑찰거대배 벼 식물체'밀양 263호'의 육종방법
[0055] 본 발명의 신품종 육성 재료로 상기 YR23517Acp79 품종을 모본으로 하고 조생흑찰을 부본으로 하였다.
[0056] 먼저'YR23517Acp79'를 모본으로 하고 흑찰벼 품종인'조생흑찰'을 부본으로 인공 교배하여 교잡종(F1)을 육성하였다. 교배종(F1)의 식물체의 이삭에서 발생된 분리세대(F2) 종자를 일반적인 집단육종법에 의해 잡종 제3세대(F3)까지 선발없이 전개한 후 잡종 제4세대 종자(F4 Seed)를 식물체별로 수확하였으며, 수확한 제4세대 종자 427계통을 일반적인 계통육종법에 의해 계통별로 약 23개체씩 포장에 공시하였다. 잡종 제4세대 식물체가 생육을 개시하여 등숙기에 도달하였을때 각 계통별 식물체에 결실된 종자 일부를 채취하여 종피를 제거한 후현미의 배를 관찰한 결과 거대배를 갖는 식물체와 일반벼 크기의 배 크기를 갖는 식물체를 구분할 수 있었으며계통내의 식물체에서 결실된 종자가 모두 거대배의 특징을 보이는 고정된 34계통을 선발한 후 이듬해 생산력 검정시험에 공시하였다.
[0057] 생산력검정시험 결과 흑미이면서 찰벼이고 거대배를 갖는 특징을 나타내며 종자의 등숙성이 개선된 계통인YR25277-B-B-314-2를 선발하여 이를'밀양 263호'로 명명하였다. 본 발명의 밀양263호는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서둔동 소재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센터에 2010년 6월 30일자 기탁번호 KACC98009P로 기탁하였다.
<실시예 3> get
[0058] 유전자의 클로닝 및 서열분석
벼 품종 YR23517Acp79와 조생흑찰의 교잡 식물체인 밀양 263호로부터 배의 [0059] 크기에 관련된 유전자인 사이토크롬P450(Cytochrome P450) 게놈 유전자를 분리하였다.
[0060] PCR을 통한 유전자 분리를 위해 NCBI 데이터베이스 (http://www.ncbi.nlm.nih.gov/)를 통해 얻어진 사이토크롬P450 게놈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인트론을 중심으로 두개의 DNA 절편으로 나눈 후 각 DNA 절편의 염기서열에 따라 적절히 프라이머를 합성하고 5 M의 베타인(Betaine)이 5 ㎕(sigma,USA) 첨가된 조건에서 통상적인 PCR 방법을 수행하였다. PCR 반응 조건은 DNA 20 ng, 500 mM 베타인,lX Ex Taq 버퍼, 0.2 mM dNTP, 0.5 unit Ex Taq 폴리머레이즈 (Takara,Japan) 및 프라이머 luM 포함하는 50 ㎕의 혼합물을 어닐링 온도 55 ℃ 조건에서 35번 증폭하였다. 상기 PCR에서 사용된 프라이머는 아래와 같다.
[0061] 서열번호 4: P450Fl 5′-TAGCTTCTCTCCACGTCTT- 3'(전방향 프라이머)
[0062] 서열번호 5: P450Rl 5′-GCCATGGACGTTTCCTTCTC- 3'(역방향 프라이머)
[0063] 서열번호 6: P450F2 5′-TCTCCTCGTCGTCGTCTTC- 3'(전방향 프라이머)
[0064] 서열번호 7: P450R2 5′-TGATGTTTCACAACTAATGCCTCG- 3'(역방향 프라이머)
[0065] 상기 4개의 프라이머로 증폭된 2개의 게놈 DNA를 pGEM-T Easy Vector(Promega Co, USA)에 접합(ligation)한 후대장균 E.coli JMI09 세포에 재조합 벡터를 형질전환하였다. 재조합벡터가 삽입된 형질전환 대장균들을 항생제 저항성 마커(엠피실린)와 베타 갈락토시다아제 효소를 이용한 색깔 선발(푸른색)을 통해서 1차 선발하고 선발된 대장균을 다시 DNA 미니프랩 과정을 거쳐서 삽입된 벡터를 추출하여 2차 확인하였다. 이러한 일련의과정을 통해 각 사이토크롬 P450 유전자의 게놈 염기서열이 삽입된 형질전환 대장균을 확보하였다.
[0066] 벡터에 삽입된 사이토크롬 P450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벡터 내에 존재하는 시권싱 프라이머인 T7과 (5'-TAATACGACTCACTATAGGG-3')와 SP6(5'-ATTTAGGTGACACTATAG-3')를 이용하여 사이토크롬 P450 게놈 D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상기 염기서열 분석 작업은 시퀀싱 에러를 제거하기 위하여 독립적으로 얻은 10개의 재조합DNA를 각각 2반복 염기서열 분석하여 얻어진 결과로서 매우 정확한 결과임을 확신하였다.
[0067] 시퀀싱 분석을 통해서 얻어진 게놈 DNA의 염기서열에서 인트론(intron) 부분을 제거하고 엑손(exon)으로만 이루어진 유전자(cDNA) 및 아미노산 서열에 대해 화청벼, 상주찰벼, 니뽄바래(Nipponbare) 및 동진벼(Donjin)에서 발견되는 사이토크롬 P450과의 상동성 조사를 실시하였다.
[0068] 상기 서열분석에 대한 결과(표 1)는 거대배 벼 식물체는 정상적인 배크기를 가지는 벼의 사이토크롬 P450 게놈DNA에서 1195번째 염기가 G(guanine)에서 T(thymine)으로 변형됨에 따라 395 번째 아미노산이 트립토판(W)에서류신(L)으로 변형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 유전자(cDNA)를 사이토크롬 P450 유전자(cDNA)의 신규 대립유전자인 get로 명명하였다. 상기 get유전자를 가진 벼는 배의 크기가 커진 거대배이다.표 1

[0069] 품종 서열
ge
t AAGGAGACGCTGCGCATGCACCCGCCGGGCCCGCTCCTGTCGTTGGCGCGCCTCGCCGTG
W → L
상주찰벼 AAGGAGACGCTGCGCATGCACCCGCCGGGCCCGCTCCTGTCGTGGGCGCGCCTCGCCGTG
화청 AAGGAGACGCTGCGCATGCACCCGCCGGGCCCGCTCCTGTCGTGGGCGCGCCTCGCCGTG
니뽄바래 AAGGAGACGCTGCGCATGCACCCGCCGGGCCCGCTCCTGTCGTGGGCGCGCCTCGCCGTG
[0070] <실험예 1> 밀양 263호의 주요 농업적 특성 비교평가
[0071] 본 발명의 밀양 263호의 주요 농업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YR23517Acp79, 큰눈, 조생흑찰 및 일미벼 품종과의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0072] 하기 각 품종 중 밀양263호, YR23517Acp79, 조생흑찰 및 일미벼의 경우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에서 육성한 품종인 바, 2008년 본 연구소에서 수확한 종자를 사용하였으며, 큰눈은 국립식량과학원에서 분양받은 종자를사용하였다. 각 품종별 종자를 육묘상자에 파종한 후 30일간의 육묘기간을 거친 후 6월 1일 본답에 이식하였다. 이앙시 재식거리는 30cm(열간거리)ㅧ 15cm(주간거리)로 하였으며 1주당 3본씩 이앙하였다. 벼 생육전 기간(육묘 ~ 수확, 5월 1일 ~ 10월 10일)의 평균온도는 23.2℃, 평균최고기온 29.4℃, 평균최저기온 18.0℃,총 일조시간 874.8시간, 총 강수량 939mm이었다.각 형질의 조사는 농촌진흥청 표준조사기준에 의거하였으며 엽 안토시아닌의 [0073] 경우 성숙기 엽 노화전 전 생육기간의 엽의 적색색소 발현여부를 기준으로 평가하였으며, 출수기는 총경수의 40%가 출수한 날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간장은 주별로는 지표에서 최장간 이삭의 이삭목까지의 길이를 측정하였고 수장은 이삭목에서 이삭끝까지의길이를 측정하였으며, 주당수수는 벼 식물체 한포기가 가지는 이삭수를 기준으로 측정하였으며, 현미수량은 품종별 100주(해당면적 : 4.5㎡)를 수확한 후 현미의 무게를 조사한 후 10a(1000㎡)로 환산하였다.표 2
[0074] 밀양 263호의 주요 농업적 특성
구분 엽색 엽
안토시아닌
출수기
(월.일)
간장
(cm)
수장
(cm)
주당수수
(개/주)
현미수량
(kg/10a)
밀양 263호 녹색 없음 8.08 65 21.4 10 449
YR23517Acp79 녹색 없음 8.10 69 19.7 10 428
큰눈 녹색 없음 8.13 69 23.5 10 598
조생흑찰 녹색 있음 8.11 61 21.4 11 461
일미 녹색 없음 8.19 72 20.7 12 566
[0075] 상기 표 2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밀양 263호는 출수기는 8월 8일이며, 조생종에 속하며, 엽색은 녹색이며, 잎에서는 안토시아닌 색소의 축적이 없다. 밀양 263호의 주당수수는 조생흑찰 보다 1개 정도 적고 현미 수량은부본인 조생흑찰보다 약 2.5 % 가량 적었으나 종자의 등숙이 개선되어 모본인 YR23517Acp79 보다는 약 5 % 가량증수됨을 보여준다. 또한 본 밀양 263호의 경우 일반벼에 비해 재배적 특성이 나쁘지 않아 일반재배에 전혀무리가 없다.
[0076] <실험예 2> 밀양 263호의 현미 특성 비교평가
[0077] 본 발명 신품종 벼 식물체인 밀양 263호의 현미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다른 품종과의 특성 비교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표 3
[0078] 밀양 263호의 현미 특성
구분 현미 천립중
(g)
배무게
(mg/1000립)
배유무게
(mg/1000립)
현미 중
배 비율(%)
주요특성
밀양 263호 19.4 1.464 17.96 7.5 흑찰거대배벼
YR23517Acp79 14.3 1.964 12.33 13.7 거대배찰벼
큰눈 20.9 1.492 19.45 7.1 거대배메벼
조생흑찰 19.8 0.515 19.29 2.6 흑찰벼
일미 22.8 0.616 22.18 2.7 일반메벼
[0079] 상기 표 3에서 보듯이 흑찰거대배 벼 식물체 밀양 263호의 곡립은 도 1의 (E)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반벼(도 1의 (A))에 비해 배가 현저히 큰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현미 천립중이 19.4 g으로 원계통인 YR23517Acp79의 14.3
g에 비해 크게 개선된 것을 나타내었다. 현미 중 배의 비율은 7.5 %로 기존에 개발된 거대배 벼 품종인 큰눈(거대배, 메벼, 현미 안토시아닌 없음)과 비슷하였다. 따라서 밀양263호는 국내 최초의 흑찰거대배아벼 식물체이며, 등숙 특성 면에서도 단점이 없어 일반적인 농가재배 및 수확이 가능하다.
[0080] <실험예 3> 밀양 263호의 현미 영양성분 비교평가
[0081] 본 발명 신품종 벼 식물체인 밀양 263호를 비롯한 현미에 대한 영양성분 분석 및 다른 품종과의 영양성분 비교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 및 5에 나타내었다.표 4
[0082] GABA 함량(mg/g)
종류 현미 배 배유 발아현미(2일)
밀양 263호 0.34 1.90 0.08 0.88
거대배아미(큰눈) 0.22 1.46 0.04 0.87
조생흑찰 0.05 0.70 0.04 0.55
일미 0.04 0.65 0.04 0.44
[0083] 상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밀양 263호는 인체 내 GABA 수용체의 경쟁적 저해제로 작용하여 신경안정, 항치매 효과를 나타내는 감마-아미노부티릭산(Gamma-aminobutyric acid, GABA; Agric. Chem. Biotechnol. 2006,49(3), 95-100)의 함량(0.34 mg/g)이 일미 및 조생흑찰 대비 약 9배 함유되어 있고, 거대배아미(0.22 mg/g)에비해서도 높은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종자를 발아시켰을 경우 일미의 GABA 함량은0.44 mg/g으로 발아 전에 비하여 크게 증가하였으며, 밀양 263호의 GABA 함량은 0.88 mg/g으로 발아 전에 비하여 2배 이상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0084]
표 5
[0085] 종류 안토시아닌
(mg/100g)
아밀로펙틴
(%)
감마
오리자놀
(mg/g)
단백질(%) 지방(%) 무기성분(mg/kg)
Ca Mg Fe
밀양263 129.4 94.5 0.32 8.98 2.57 338.1 1366.0 45.7
거대배아미
(큰눈)
- 85.3 0.32 8.09 3.31 167.1 1294.0 29.6
조생흑찰 117.5 95.5 0.29 7.81 3.11 234.6 1193.3 20.7
일미 - 83.5 0.23 7.45 2.25 164.0 875.0 30.3
[0086] 상기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밀양 263호의 현미에는 거대배 찰벼인 YR23517Acp79에 존재하지 않은 안토시아닌이 함량이 129 mg/100g 함유되어 있다. 안토시아닌은 화학구조별로 강력한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는기능성물질로 잘 알려져 있다(J. Agric. Food Chem, 2003, 51, 628-633). 그 외에도 항고혈압 및 항당뇨효과가 있는 감마-오리자놀 함량 또한 다른 품종에 비해 우수하였으며, 일반 무기성분 함량의 경우 칼슘(33.8mg/100g), 철(4.5 mg/100 g)으로 다른 품종에 비해 1.2 ∼ 2배 더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발명에 따른 신품종 벼 식물체인 밀양 263호는 다른 품종에 비해 기능성물질 및 영양성분 함량이 우수한 품종임을 확인하였다.
[0087] 또한 밀양 263호 현미의 아미노산 성분 비율을 다른 벼의 현미와 비교하여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표 6
[0088] 아미노산(mg/g) 밀양 263호 큰눈 조생흑찰 일미
Asp 20.24 18.21 15.99 16.52
Thre 17.78 16.56 14.14 14.16
Ser 14.28 13.40 11.62 11.92
Glu 20.03 18.89 15.54 17.41
Pro 16.66 16.34 14.72 17.27
Gly 11.30 10.45 9.11 9.03
Ala 12.84 12.17 10.22 10.83
Cys 18.16 15.70 16.65 33.72
Val 16.53 15.32 13.28 13.79
Met 23.79 14.69 30.88 28.91
Ile 18.22 16.54 14.52 15.53
Leu 18.20 16.88 14.72 15.66
Tyr 32.26 29.19 21.18 19.15
Phe 23.75 21.55 18.24 19.16
His 26.00 22.69 20.10 19.14
Lys 23.78 21.60 18.33 17.62
Arg 26.79 24.97 19.75 19.80
Total 340.61 305.15 278.99 299.62
<제조예 1> [0089] 밀양 263호 현미 추출물의 제조
[0090] 밀양 제263호의 왕겨 껍질을 제거하고 분쇄한 뒤, 상기 분쇄 시료에 용매로서 에틸아세테이트, 70% 에탄올 또는70% 메탄올을 곡립 중량의 20 배 넣고, 24시간동안 초음파 추출을 수행하여 현미 추출물을 얻었다. 또한 거대배아미(큰눈)와 일반 일미의 경우에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얻었다.
[0091] <제조예 2> 밀양 263호 발아 추출물의 제조
[0092] 밀양 제263호를 30℃ 물에 24시간 침지한 다음, 27℃에서 2일간 발아시켜 껍질을 제거하고 건조시켜 분쇄한 후,상기 분쇄 시료에 용매로서 에틸아세테이트, 70% 에탄올 또는 70% 메탄올을 곡립 중량의 20 배 넣고, 24시간동안 초음파 추출을 수행하여 발아 추출물을 얻었다. 또한 거대배아미(큰눈)와 일반 일미의 경우에도 상기와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얻었다.
[0093] <실험예 4>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비교평가
[0094] 상기 실시예 5에서 얻은 발아 추출액 0.05 ml와 최종농도 100 uM DPPH (2,2-di-(4-tert-oxyphenyl-1-picrylhydrazyl)) 0.2 ml를 혼합하여 30분간 반응시킨 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비교하여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표 7
[0095] 추출물 추출용매별 DPPH 항산화 활성(%)
EtOAC 70% EtOH 70% MeOH
밀양 263호 43.1 23.7 37.2
거대배아미(큰눈) 31.9 12.9 10.4
일미 22.3 14.8 5.2
[0096] 상기 표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에틸아세테이트, 에탄올 및 메탄올 추출물 모두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밀양 263호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이 매우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0097] 또한, ABTs(2,2-azino-bis-(3-ethylbenzthizaoline-6-sulfonic acid))를 이용한 실시예 5의 발아 추출물과의반응을 734 nm에서 관찰하여 ABTs의 라디칼 소거 능력을 비교하여 항산화 활성을 검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표 8에 나타내었다.표 8
[0098] 추출물 추출용매별 ABTS 항산화 활성(%)
EtOAC 70% EtOH 70% MeOH
밀양 제263호 29.5 73.8 71.4
거대배아미(큰눈) 24.5 38.2 31.2
일미 16.8 32.2 38.5
[0099] 상기 표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ABTs 실험을 통하여서도 밀양 263호, 거대배아미 및 일미의 추출물이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0100] <실험예 5> 알코올 중독 쥐를 이용한 알코올 섭취 영향 비교
쌀의 알코올 중독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알코올 의존 동물 모델인 C57BL/[0101] 6 생쥐를 대상으로 동물실험을진행하였다. 상기 C57BL/6 생쥐는 생체활성이 높으며, 몰핀에 대한 기호성과 알코올의 섭취량, 선호도가높아서 알코올 중독의 유전적 연구, 약물의 효능 연구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0102] 4주령의 C57BL/6 생쥐 1주일 동안 실험환경에 적응시켰다. 이 때는 물과 생쥐용 사료를 24시간동안 자유로이 섭취하도록 하였다. 이후 대상 생쥐의 행동학적 알코올 의존화를 위한 유한접근법을 이용하여 14일 동안물 대신 10% 에탄올만을 사료와 함께 24시간 동안 제공함으로써 알코올 섭취를 강요하였다. 이후 16 일 동안 매일 2시간은 물 없이 에탄올만 제공하였고, 에탄올이 제공되지 않는 나머지 22시간은 물을 제공하였다.다음 일미, 거대배아미 및 밀양 263호의 현미를 각각 20일 동안 제공하였으며, 12시간 암조건은 오후 1시부터오전 1시까지로 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사료만을 제공한 군을 사용하였다.
[0103] 이후 4일간의 안정기를 거치고, 이틀에 한 번씩 에탄올의 섭취량을 조사하였으며, 10일 경과후의 평균 알코올섭취량을 비교하여 하기 표 9에 나타내었고, 시간의 경과에 따른 알코올 섭취량을 비교한 그래프를 도 3에 나타내었다.표 9
[0104] 처리 기본
알코올 섭취량
(g/kg)
10일 이후 평균 알코
올 섭취량
(g/kg)
알코올 섭취량 변화
(g/kg)
변동율
(%)
사료(대조) 7.8 11.0 + 3.2 + 41
일미 7.6 7.3 - 0.3 - 4
거대배아미 7.9 4.9 - 3.0 - 38
밀양 263호 7.5 3.8 - 3.7 - 50
[0105] 상기 표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료만을 제공한 군에서는 기본 알코올 섭취량인 7.8 g/kg에 비해 11.0 g/kg의알코올 섭취량을 나타내어 알코올 섭취량이 41% 증가함을 나타냈고, 이 현상은 다른 알코올 중독에 걸린 쥐의반응과 유사함을 보였다. 일미를 제공한 군에서는 기본 알코올 섭취량인 7.6 g/kg에 비해 7.3 g/kg의 알코올 섭취량을 나타내어 4% 감소함을 나타내었고, 거대배아미를 제공한 군에서는 기본 알코올 섭취량 7.9 g/kg에비해 4.9 g/kg의 알코올 섭취량을 나타내어 38 %의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특히 밀양 263호를 제공한 군에서는 3.8 g/kg의 알코올 섭취량을 나타내어, 기본 알코올 섭취량에 비해 50%나 크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알코올 섭취량의 감소는 기존 약제로 사용되는 날트렉손과 아캄프로세이트의 알코올 섭취 감소 동물 전임상 시험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결국 쌀에 함유되어 있는 감마-아미노부티릭산을 비롯한 다양한 기능성 성분과 항산화 성분이 알코올 섭취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0106] 또한 발아 현미의 알코올 섭취 감소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5에서 나타난 조건으로 발아시킨 일미, 조생흑찰, 거대배아미 및 밀양 263호의 현미를 분쇄한 후, 상기 발아 현미 분쇄물과 사료를 중량비 7 : 3으로 혼합하여 시료를 제조하였다. 상기 시료를 알코올 중독 쥐에게 1일 평균 7g의 사료가 섭취되도록 제공하여 평균 알코올 섭취량을 비교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으며, 시간의 경과에 따른 알코올 섭취량을 비교한 그래프를 도 4에 나타내었다.표 10
[0107] 처리 기본
알코올 섭취량
(g/kg)
10일 이후
평균 알코올
섭취량(g/kg)
알코올 섭취
감소량(g/kg)
감소율
(%)
발아 일미 7.0 4.5 2.5 36
발아 조생흑찰 6.7 4.7 2.0 30
발아
거대배아미
6.9 2.7 4.2 61
발아
밀양 263호
6.8 2.4 4.4 65
※ 평균 사료 섭취량 [0108] : 7g/1day/30g mice
[0109] 상기 표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발아 현미를 분쇄하여 사료와 함께 투입한 경우 현미를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전체적으로 보다 우수한 알코올 중독 치료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구체적으로, 발아 일미는 기본 알코올 섭취량7.0 g/kg에 비해 36%, 발아 조생흑찰은 30%, 발아 거대배아미는 61% 및 발아 밀양 263호는 65%의 알코올 섭취감소율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를 상기 표 4의 GABA 함량과 비교하여 해석해 보면, 밀양 263호와 거대배아미를 발아시켰을 경우 GABA 함량이 각각 0.88 mg/g과 0.87 mg/g 으로 비슷하고, 알코올 섭취량 감소율도 각각 65%와 61%로서 유사하였으며, 발아 조생흑찰과 발아 일미의 경우도 GABA 함량이 각각 0.55 mg/g과 0.44 mg/g 이었고, 알코올 섭취량 감소율도 각각 30% 와 36%로 GABA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알코올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확인된 바, 상기 GABA 함량이 알코올 섭취 감소에 크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수탁번호
[0110]
기탁기관명 : 농업생명공학연구원
수탁번호 : KACC98009
수탁일자 : 20100630
도면
도면1
도면2
도면3
도면4
서 열 목 록
<110> REPUBLIC OF KOREA(MANAGEMENT :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20>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alcoholism comprising a rice or its extracts
<160> 7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2301
<212> DNA
<213> Oryza sativa
<220><221> gene
<222> (1)..(2301)
<223> genomic DNA of cytochrome P450
<400> 1
gccattatta tgtagtccta tatttaagga agaaactaat gatatatacg cagatattgt 60
taataatgac cctttgatta cgctatcatt actgacaatg acatgtgggg ctagagtgtc 120
agataattgg aggtccaaat ttttggagtg gcaaaatggt ctatttaaag caccaggtgt 180
ttattagctt ctctccacgt cttcttcctc ccaagaaaac tcctctcact tcgcgaacgc 240
ttcccatggc gctctcctcc atggccgcgg cgcaagagag ctccctcctc ctcttcctcc 300
tcccgacgtc ggccgcctcc gtgttcccgc cgctcatctc cgtggtcgtc ctcgccgcgc 360
tcctcctgtg gctctcgccg ggtggccccg cgtgggcgct gtcccgttgc cgtggcacgc 420
cgccgccgcc gggcgtggcg gggggcgcgg ccagcgcgct gtccggccct gccgcgcacc 480
gcgtgctcgc cgggatttcg cgcgccgtcg agggcggcgc ggcggtgatg tcgctctccg 540
tcggcctcac ccgcctcgtc gtggcgagcc ggccggagac ggcgagggag atcctcgtca 600
gcccggcgtt cggcgaccgc cccgtgaagg acgcggcgag gcagctgctg ttccaccgcg 660
ccatggggtt cgccccgtcg ggcgacgcgc actggcgcgg gctccgccgc gcctccgcgg 720
cgcacctctt cggcccgcgc cgcgtggccg ggtccgcgcc cgagcgcgag gccatcggcg 780
cccgcatagt cggcgacgtc gcctccctca tgtcccgccg cggcgaggtc cccctccgcc 840
gcgtccttca cgccgcgtcg ctcggccacg tcatggcgac cgtcttcggc aagcggcacg 900
gcgacatctc gatccaggac ggcgagctcc tggaggagat ggtcaccgaa gggtacgacc 960
tcctcggcaa gttcaactgg gccgaccacc tgccattgct caggtggctc gacctccagg 1020
gcatccgccg ccggtgcaac aggctagtcc agaaggtgga ggtgttcgtc ggaaagatca 1080
tacaggagca caaggcgaag cgagctgccg gaggcgtcgc cgtcgccgac ggcgtcttgg 1140
gcgacttcgt cgacgtcctc ctcgacctcc agggagagga gaagatgtca gactccgaca 1200
tgatcgctgt tctttgggta agtctcctcg tcgtcgtctt cgtcgtaaag cttgagaagg 1260
aaacgtccat ggcgttttca tggattggtt tcttgttttt ttcttcagga gatgatcttt 1320
agagggacgg acacggtggc gatcttgatg gagtgggtga tggcgaggat ggtgatgcac 1380
ccggagatcc aggcgaaggc gcaggcggag gtggacgccg ccgtgggggg acgccgcggc 1440
cgcgtcgccg acggcgacgt ggcgagcctc ccctacatcc agtccatcgt gaaggagacg 1500
ctgcgcatgc acccgccggg cccgctcctg tcgtgggcgc gcctcgccgt gcacgacgcg 1560
cgcgtcggtg gccacgccgt ccccgccggg acgacggcga tggtgaacat gtgggcgatc 1620
gcccacgacg ccgccgtctg gccggagccg gatgcgttcc gcccggagcg cttctcggag 1680
ggggaggacg tcggcgtgct cggcggcgac ctccgcctcg cgccgttcgg cgccggccgc 1740
cgcgtctgcc ctggcaggat gctggcgctc gccaccgccc acctctggct cgcccagctg 1800
ctgcacgcct tcgactggtc ccccaccgcc gccggcgtcg acctgtccga gcgcctcggc 1860
atgtcgctgg agatggcggc gccgctcgtg tgcaaggccg tggctagggc ctgagcccta 1920
gccgccgccg ccgccattat tgccattgat gtggctagcg acgttgtcgt gctcgcatcc 1980
atactcctcc ataggcaact cgtctagcca atgaagaaag ctactatcta tctatctatc 2040
aagctagctg ctactatcac aaaccgcatt tcggcatcat cttaaattag ctcttagggg 2100
tgtaggcgat tttggtttcc cccaaaaatt tgctttgcca gtcttttggt ttaaatcgag 2160
gcattagttg tgaaacatca tgagaagtta tttaaatctg aggaattttg tttgaacctt 2220
ttctggtgtg ctaaatggat cgtgctttga gtatcttatt attctgaatg tgttatgtag 2280
ctacactctc ctgaatcatg t 2301
<210> 2
<211> 1563
<212> DNA
<213> Oryza sativa
<220><221> gene
<222> (1)..(1563)
<223> cDNA of cytochrome P450
<400> 2
atggccgcgg cgcaagagag ctccctcctc ctcttcctcc tcccgacgtc ggccgcctcc 60
gtgttcccgc cgctcatctc cgtggtcgtc ctcgccgcgc tcctcctgtg gctctcgccg 120
ggtggccccg cgtgggcgct gtcccgttgc cgtggcacgc cgccgccgcc gggcgtggcg 180
gggggcgcgg ccagcgcgct gtccggccct gccgcgcacc gcgtgctcgc cgggatttcg 240
cgcgccgtcg agggcggcgc ggcggtgatg tcgctctccg tcggcctcac ccgcctcgtc 300
gtggcgagcc ggccggagac ggcgagggag atcctcgtca gcccggcgtt cggcgaccgc 360
cccgtgaagg acgcggcgag gcagctgctg ttccaccgcg ccatggggtt cgccccgtcg 420
ggcgacgcgc actggcgcgg gctccgccgc gcctccgcgg cgcacctctt cggcccgcgc 480
cgcgtggccg ggtccgcgcc cgagcgcgag gccatcggcg cccgcatagt cggcgacgtc 540
gcctccctca tgtcccgccg cggcgaggtc cccctccgcc gcgtccttca cgccgcgtcg 600
ctcggccacg tcatggcgac cgtcttcggc aagcggcacg gcgacatctc gatccaggac 660
ggcgagctcc tggaggagat ggtcaccgaa gggtacgacc tcctcggcaa gttcaactgg 720
gccgaccacc tgccattgct caggtggctc gacctccagg gcatccgccg ccggtgcaac 780
aggctagtcc agaaggtgga ggtgttcgtc ggaaagatca tacaggagca caaggcgaag 840
cgagctgccg gaggcgtcgc cgtcgccgac ggcgtcttgg gcgacttcgt cgacgtcctc 900
ctcgacctcc agggagagga gaagatgtca gactccgaca tgatcgctgt tctttgggag 960
atgatcttta gagggacgga cacggtggcg atcttgatgg agtgggtgat ggcgaggatg 1020
gtgatgcacc cggagatcca ggcgaaggcg caggcggagg tggacgccgc cgtgggggga 1080
cgccgcggcc gcgtcgccga cggcgacgtg gcgagcctcc cctacatcca gtccatcgtg 1140
aaggagacgc tgcgcatgca cccgccgggc ccgctcctgt cgttggcgcg cctcgccgtg 1200
cacgacgcgc gcgtcggtgg ccacgccgtc cccgccggga cgacggcgat ggtgaacatg 1260
tgggcgatcg cccacgacgc cgccgtctgg ccggagccgg atgcgttccg cccggagcgc 1320
ttctcggagg gggaggacgt cggcgtgctc ggcggcgacc tccgcctcgc gccgttcggc 1380
gccggccgcc gcgtctgccc tggcaggatg ctggcgctcg ccaccgccca cctctggctc 1440
gcccagctgc tgcacgcctt cgactggtcc cccaccgccg ccggcgtcga cctgtccgag 1500
cgcctcggca tgtcgctgga gatggcggcg ccgctcgtgt gcaaggccgt ggctagggcc 1560
tga 1563
<210> 3
<211> 520
<212> PRT
<213> Oryza sativa
<220><221> PEPTIDE
<222> (1)..(520)
<223> Cytochrome P450
<400> 3
Met Ala Ala Ala Gln Glu Ser Ser Leu Leu Leu Phe Leu Leu Pro Thr
1 5 10 15
Ser Ala Ala Ser Val Phe Pro Pro Leu Ile Ser Val Val Val Leu Ala
20 25 30
Ala Leu Leu Leu Trp Leu Ser Pro Gly Gly Pro Ala Trp Ala Leu Ser
35 40 45
Arg Cys Arg Gly Thr Pro Pro Pro Pro Gly Val Ala Gly Gly Ala Ala
50 55 60
Ser Ala Leu Ser Gly Pro Ala Ala His Arg Val Leu Ala Gly Ile Ser
65 70 75 80
Arg Ala Val Glu Gly Gly Ala Ala Val Met Ser Leu Ser Val Gly Leu
85 90 95
Thr Arg Leu Val Val Ala Ser Arg Pro Glu Thr Ala Arg Glu Ile Leu
100 105 110
Val Ser Pro Ala Phe Gly Asp Arg Pro Val Lys Asp Ala Ala Arg Gln
115 120 125
Leu Leu Phe His Arg Ala Met Gly Phe Ala Pro Ser Gly Asp Ala His
130 135 140
Trp Arg Gly Leu Arg Arg Ala Ser Ala Ala His Leu Phe Gly Pro Arg
145 150 155 160
Arg Val Ala Gly Ser Ala Pro Glu Arg Glu Ala Ile Gly Ala Arg Ile
165 170 175
Val Gly Asp Val Ala Ser Leu Met Ser Arg Arg Gly Glu Val Pro Leu
180 185 190
Arg Arg Val Leu His Ala Ala Ser Leu Gly His Val Met Ala Thr Val
195 200 205
Phe Gly Lys Arg His Gly Asp Ile Ser Ile Gln Asp Gly Glu Leu Leu
210 215 220
Glu Glu Met Val Thr Glu Gly Tyr Asp Leu Leu Gly Lys Phe Asn Trp
225 230 235 240
Ala Asp His Leu Pro Leu Leu Arg Trp Leu Asp Leu Gln Gly Ile Arg
245 250 255
Arg Arg Cys Asn Arg Leu Val Gln Lys Val Glu Val Phe Val Gly Lys
260 265 270
Ile Ile Gln Glu His Lys Ala Lys Arg Ala Ala Gly Gly Val Ala Val
275 280 285
Ala Asp Gly Val Leu Gly Asp Phe Val Asp Val Leu Leu Asp Leu Gln
290 295 300
Gly Glu Glu Lys Met Ser Asp Ser Asp Met Ile Ala Val Leu Trp Glu
305 310 315 320
Met Ile Phe Arg Gly Thr Asp Thr Val Ala Ile Leu Met Glu Trp Val
325 330 335
Met Ala Arg Met Val Met His Pro Glu Ile Gln Ala Lys Ala Gln Ala
340 345 350
Glu Val Asp Ala Ala Val Gly Gly Arg Arg Gly Arg Val Ala Asp Gly
355 360 365
Asp Val Ala Ser Leu Pro Tyr Ile Gln Ser Ile Val Lys Glu Thr Leu
370 375 380
Arg Met His Pro Pro Gly Pro Leu Leu Ser Leu Ala Arg Leu Ala Val
385 390 395 400
His Asp Ala Arg Val Gly Gly His Ala Val Pro Ala Gly Thr Thr Ala
405 410 415
Met Val Asn Met Trp Ala Ile Ala His Asp Ala Ala Val Trp Pro Glu
420 425 430
Pro Asp Ala Phe Arg Pro Glu Arg Phe Ser Glu Gly Glu Asp Val Gly
435 440 445
Val Leu Gly Gly Asp Leu Arg Leu Ala Pro Phe Gly Ala Gly Arg Arg
450 455 460
Val Cys Pro Gly Arg Met Leu Ala Leu Ala Thr Ala His Leu Trp Leu
465 470 475 480
Ala Gln Leu Leu His Ala Phe Asp Trp Ser Pro Thr Ala Ala Gly Val
485 490 495
Asp Leu Ser Glu Arg Leu Gly Met Ser Leu Glu Met Ala Ala Pro Leu
500 505 510
Val Cys Lys Ala Val Ala Arg Ala
515 520
<210> 4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223> forward primer P450F1
<400> 4
tagcttctct ccacgtctt 19
<210> 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223> reverse primer of P450R1
<400> 5
gccatggacg tttccttctc 20
<210> 6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223> forward primer of P450F2
<400> 6
tctcctcgtc gtcgtcttc 19
<210> 7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223> reverse primer of P450R2
<400> 7
tgatgtttca caactaatgc ctcg 24 

등록된 상품문의

  •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등록된 사용후기

  • 사용후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