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읽어보세요!
기술거래는 양방향 경매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기술을 매수한 당사자는 거래금액의 전부 혹은 10퍼센트(%)를 당일 본원에 입금하여야 하며, 10% 나머지 잔금은 거래일로부터 2일 이내(거래일 익일)에 납부하여야 합니다. 만약 위 지정 기간내에 매수자가 입금하지 않으면 거래는 무효가 되며, 잔금도 기한내에 입금되지 않으면 매도자로 귀속됩니다. 이는 매도자의 기한의 이익상실을 보장함 입니다.
기술거래의 수수료는 기술의 이전 및 사업화 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산업통상자원부령 제48호 의거 기술이전 금액의 13퍼센트∼기술이전 금액의 17.5퍼센트로 되어있지만, 본 거래사이트에서는 매도‧매수인 각각 10%로 합니다.
이때 매수인의 매수금액(당사로 입금되는 금액)에서 수수료 각각10% 인 20%를 공제한 후 매도인에게 계좌이체를 하여야 합니다.
또한 권리이전(특허)비용은 기술양수인(매수자)부담이며 그 비용은 별도입니다.
명 세 서
청구범위
청구항 1
세포내액량, 세포외액량 및 세포내외액량의 비를 측정하는 단계;800nm의 파장에서 동맥혈의 ICG 와 HbO2 의 전체 흡광도와 905nm의 파장에서 동맥혈의 HbO2 흡광도의 차를 이용하여 시간에 따른 ICG 농도 추이를 바탕으로 혈장량(PV)을 측정하는 단계; 및상기 세포외액량 및 상기 혈장량의 차이를 구함으로써 간질액(ISF) 량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체액 분포모니터링 방법.
청구항 2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세포내액량, 세포외액량 및 세포내외액량의 비의 측정은 바이오임피던스 분광법(BIS) 또는 바이오임피던스측정법(BIA)을 이용하는 체액 분포 모니터링 방법.
청구항 3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혈장량의 측정은 추적자(tracer)를 주입하여 분포용적을 계산하는 희석법을 이용하거나 분광광도계를 이용하는 체액 분포 모니터링 방법.
청구항 4
제 3항에 있어서,상기 추적자는 인도시아닌그린(ICG)인 체액 분포 모니터링 방법.
청구항 5
제 3항에 있어서,상기 분포용적은 하기 식으로 계산되는 체액 분포 모니터링 방법:분포용적 = 추적자 투여량 / 추적자 농도.
청구항 6
제 5항에 있어서,상기 혈장량의 측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체액 분포 모니터링 방법:2개 이상의 파장에서의 HbO2 및 ICG 전체의 흡광도와 HbO2의 흡광도를 측정하는 단계;상기 측정된 2개 이상의 파장에서의 흡광도의 차이를 추적자의 흡광도로 정하는 단계;상기 추적자의 흡광도를 농도로 전환한 이후 로그 값으로 변환 후 회귀(regression)하는 단계;Y 축과 만나는 점의 수치를 초기 농도로 결정하는 단계; 및추적자의 투여량을 상기 초기 농도로 나누어 혈장량을 계산하는 단계.
청구항 7
세포내액량, 세포외액량 및 세포내외액량의 비를 측정하는 단계;상기 세포내액량 및 세포외액량의 비율을 계산하여 세포내외액량의 비를 구하는 단계;800nm의 파장에서 동맥혈의 ICG 와 HbO2 의 전체 흡광도와 905nm의 파장에서 동맥혈의 HbO2 흡광도의 차를 이용하여 시간에 따른 ICG 농도 추이를 바탕으로 혈장량의 시간에 따른 변화 추이를 측정하는 단계;상기 세포내외액량의 비 및 상기 혈장량 변화 추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단계; 및상기 분석된 상관관계로부터 간질액 량을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체액 분포 모니터링 방법.
청구항 8
세포내액량, 세포외액량 및 세포내외액량의 비를 측정하는 수단;800nm의 파장에서 동맥혈의 ICG 와 HbO2 의 전체 흡광도와 905nm의 파장에서 동맥혈의 HbO2 흡광도의 차를 이용하여 시간에 따른 ICG 농도 추이를 바탕으로 혈장량을 측정하는 수단; 및상기 세포외액량 및 상기 혈장량의 차이를 구함으로써 간질액 량을 계산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체액 분포 모니터링 장치.
청구항 9
제 8항에 있어서,상기 세포내액량, 세포외액량 및 세포내외액량의 비에 대한 측정 수단은 바이오임피던스 분광법 또는 바이오임피던스 측정법을 이용하는 체액 분포 모니터링 장치.
청구항 10
제 8항에 있어서,상기 혈장량의 측정 수단은 추적자를 주입하여 분포용적을 계산하는 희석법을 이용하거나 분광광도계를 이용하는 체액 분포 모니터링 장치.
청구항 11
제 10항에 있어서,상기 혈장량의 측정 수단은 하기를 포함하는 체액 분포 모니터링 장치:두 파장에서의 HbO2 및 ICG 전체의 흡광도와 HbO2의 흡광도를 측정하는 수단;상기 측정된 2개 이상의 파장에서의 흡광도의 차이를 추적자의 흡광도로 정하는 수단;상기 추적자의 흡광도를 농도로 전환한 이후 로그 값으로 변환 후 회귀하는 수단;
Y 축과 만나는 점의 수치를 초기 농도로 결정하는 수단; 및추적자의 투여량을 상기 초기 농도로 나누어 혈장량을 계산하는 수단.
청구항 12
세포내액량, 세포외액량 및 세포내외액량의 비를 측정하는 수단;상기 세포내액량 및 세포외액량의 비율을 계산하여 세포내외액량의 비를 구하는 수단;800nm의 파장에서 동맥혈의 ICG 와 HbO2 의 전체 흡광도와 905nm의 파장에서 동맥혈의 HbO2 흡광도의 차를 이용하여 시간에 따른 ICG 농도 추이를 바탕으로 혈장량의 시간에 따른 변화 추이를 측정하는 수단;상기 세포내외액량의 비 및 상기 혈장량 변화 추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수단; 및상기 분석된 상관관계로부터 간질액 량을 추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체액 분포 모니터링 장치.
청구항 13
피검자로부터 채취된 혈액 내의 추적자 농도에 대한 흡광도 값을 2개 이상 측정하고 800nm의 파장에서 동맥혈의
ICG 와 HbO2 의 전체 흡광도와 905nm의 파장에서 동맥혈의 HbO2 흡광도의 차를 이용하여 캘리브레이션 라인
(calibration line)을 설정하는 단계;피검자에게 추적자를 주입한 이후 피검자로부터 채취된 혈액으로부터 측정된 흡광도 및 상기 캘리브레이션 라인을 이용하여 시간에 따른 추적자 농도 추이를 계산하는 단계; 및상기 시간에 따른 추적자 농도 추이로부터 혈장량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혈장량 측정 방법.
청구항 14
제 13항에 있어서,상기 혈액은 동맥혈인 혈장량 측정 방법.
청구항 15
제 13항에 있어서,상기 캘리브레이션 라인 설정 단계는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혈장량 측정 방법:채취된 혈액을 제1 챔버 및 제2 챔버로 보내 챔버들 내의 기존 추적자와 혼합하는 단계;제1 챔버 내의 혈액의 흡광도(abs1) 및 제2 챔버 내의 혈액의 흡광도(abs2)를 측정하는 단계; 및상기 측정된 흡광도 및 이미 알고 있던 추적자 농도(C1, C2)로부터 C1/abs1 및 C2/abs2를 구하고 이로부터 캘리브레이션 라인을 설정하는 단계.
청구항 16
제 13항에 있어서,상기 흡광도 측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혈장량 측정 방법:2개 이상의 파장에서의 HbO2 및 ICG 전체의 흡광도와 HbO2의 흡광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상기 측정된 2개 이상의 파장에서의 흡광도의 차이를 추적자의 흡광도로 정하는 단계.
청구항 17
제 13항에 있어서,상기 추적자 농도 추이로부터 혈장량을 계산하는 단계는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혈장량 측정 방법:상기 추적자의 흡광도를 농도로 전환한 이후 로그 값으로 변환 후 회귀하는 단계;Y 축과 만나는 점의 수치를 초기 농도로 결정하는 단계; 및추적자의 투여량을 상기 초기 농도로 나누어 혈장량을 계산하는 단계.
청구항 18
피검자로부터 혈액을 채취하는 자동 샘플러;피검자로부터 채취된 혈액 내의 추적자 농도에 대한 흡광도 값을 2 이상 측정하고 800nm의 파장에서 동맥혈의ICG 와 HbO2 의 전체 흡광도와 905nm의 파장에서 동맥혈의 HbO2 흡광도의 차를 이용하여 추적자의 흡광도를 정하는 흡광도 측정부;상기 측정된 2개 이상의 흡광도 값으로부터 캘리브레이션 라인을 설정하는 캘리브레이션 라인 설정부;피검자에게 추적자를 주입한 이후 피검자로부터 채취된 혈액으로부터 측정된 흡광도 및 상기 캘리브레이션 라인을 이용하여 시간에 따른 추적자 농도 추이를 계산하는 추적자 농도 추이 계산부; 및상기 시간에 따른 추적자 농도 추이로부터 혈장량을 계산하는 혈장량 계산부를 포함하는 혈장량 측정 장치.
청구항 19
제 18항에 있어서,상기 채취된 혈액의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를 더 포함하는 혈장량 측정 장치.
청구항 20
제 18항에 있어서,상기 혈액은 동맥혈인 혈장량 측정 장치.
청구항 21
제 18항에 있어서,내부에 제1 부피의 추적자를 함유하고 채취된 혈액을 수용하여 추적자 및 혈액을 혼합하는 제1 챔버;내부에 제2 부피의 추적자를 함유하고 채취된 혈액을 수용하여 추적자 및 혈액을 혼합하는 제2 챔버; 및
측정된 흡광도 및 이미 알고 있던 추적자 농도(C1, C2)로부터 C1/abs1 및 C2/abs2를 계산하는 농도/흡광도 계산
부를 더 포함하는 혈장량 측정 장치.
청구항 22
제 18항에 있어서,상기 혈장량 계산부는 하기를 포함하는 혈장량 측정 장치:상기 추적자의 흡광도를 농도로 전환한 이후 로그 값으로 변환 후 회귀하는 회귀부;Y 축과 만나는 점의 수치를 초기 농도로 결정하는 초기 농도 결정부; 및
추적자의 투여량을 상기 초기 농도로 나누어 혈장량을 계산하는 계산부.
발명의 설명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체액 분포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0001] 혈장량 측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것이다.
배 경 기 술
[0002] 일반적으로 심혈관계는 조직에 필요한 산소와 각종 영양물질을 공급하고 대사 후에 생긴 여러 가지 대사산물을조직에서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0003] 총체액(total body fluid)은 세포내액(intracellular fluid, ICF, 체중의 40%), 세포외액(extracellular fluid, ECF, 체중의 20%)으로 구성되며, 세포외액은 혈장(plasma volume, 체중의 5%)과 간질액(interstitial fluid, 체중의 15%)으로 구성된다.
[0004] 체액 분포 분석법은 혈장량이 적절한지 평가하는 간접적인 방법으로 간주할 수 있으며, 혈장량과 함께 세포내외액량이나 세포내외액량의 비를 알 수 있다면, 환자의 체액 분포를 완전하게 파악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체액 분포 분석법을 이용하면 혈장량, 세포내외액량 또는 세포내외액량의 비를 완전하게 파악할 수있으며, 좀 더 정밀하게 수액 및 수혈요법을 시행하여 환자의 체액 분포를 정상화시킬 수 있다.
[0005] 전통적으로 체액 분포 측정이 중요한 환자군에는 중환자, 수술환자, 응급환자, 외상환자 등이 있으며, 상기 환자군에서 공통된 문제점은 심혈관계 억제와 출혈 및 탈수에 의한 저혈압이나 쇼크, 과다수액주입에 의한 체중증
가 또는 폐부종 등으로 인하여 장기 기능이 손상되고 임상경과가 나빠질 가능성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0006] 더욱이 상기와 같은 문제가 있는 환자들이 마취를 받을 경우, 마취제가 심혈관계를 더욱 억제하므로 중요 장기의 저관류, 다기관 기능부전으로 사망에 이를 수 있다. 또한 중환자 관리나 수술, 응급, 외상환자에서 적절한 혈액량을 유지하는 것은 장기의 기능과 임상경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그리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여러 방법이 [0007] 제안되었고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다음과 같다.
[0008] 먼저, 혈압(blood pressure), 중심정맥압(central venous pressure), 폐동맥 쐐기압(pulmonary artery
occlusion pressure), 심박출량(cardiac output), 혼합정맥 산소포화도(mixed venous oxygen saturation) 등 정적인 혈역학 감시 변수들을 이용한 정적인 혈역학 모니터링 방법이 제시되었으나, 환자의 혈장량과 수액요법에 따른 혈장량의 변화를 정확하게 알려주지는 못하는 것으로 최근 판명되고 있다.[0009] 신장의 관류압을 유지하기 위해 충분한 양의 정질액을 투여하는 표준수액요법(liberal fluid therapy)은 수술적자극으로 인한 제3공간으로의 수분손실까지 보충하는 수액요법으로 오랜 시간 동안 임상에서 적용해 온 방법이나, 정질액을 과다 투여할 경우 혈관내막의 당질피질(endothelial glycocalyx) 손상으로 혈장내 용적이 세포외액, 특히 간질액으로 병리학적 이동(pathologic shift)하여 체중증가를 초래하고 이로 인한 재원 기간의 연장및 사망률의 증가로 이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0010] 상기 표준수액요법의 대안으로 제시된 제한성 수액요법(restrictive fluid therapy)은 금식으로 인한 수액보충
을 하지 않고, 수술 중 제 3공간으로의 수분손실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서 정질액(crystalloid)은 유지수액량을 보충하는 정도로 제한적으로 정주하고, 출혈은 교질액(colloid) 위주로 보충하는 수액요법으로, 제한성 수액요법을 적용하였을 경우 표준수액요법보다 수술 후 체중증가가 적으며, 수술 후 유병률이 감소하고, 재원기간도 단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제한성 수액요법은 저혈량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이로인하여 신장 관류압이 적절히 유지되지 못하게 되어, 회복과정에서 핍뇨(oliguria)와 수술 후 급성신장손상(acute kidney injury)의 발생 가능성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0011] 상기 두 가지 수액요법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수술 후 간질로의 수분저류를 최소화하면서도 수술 중 안정적인 혈역학을 유지하기 위한 목표수액요법(goal-directed fluid therapy)은 수술 중에 일회박출량 변이 목표점을 정해
서 이를 충족시키는 방법으로 수액을 정주하는 방법으로, 일회박출량 변이(stroke volume variation, SVV)는 동적 혈역학 변수이다. 현재 임상에서 SVV값이 13%를 초과하게 되면 수액을 정주하였을 경우 수액반응도가 있다는
것을 나타나며, 이는 곧 혈장량이 부족한 저혈량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SVV와 같은동적체액 분포 변수는 기계 환기를 하고 있는 앙와위의 환자에서만 적용가능하고, 그나마도 부정맥,복강경수술, 앙와위 이외의 체위, 흉곽이 개방된 경우 적용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0012] 가장 바람직한 심혈관계 모니터링 방법은 환자의 세포내액(ICF), 간질액(ISF) 및 혈장량(PV)을 직접적이면서도연속적으로 측정하는 것이다. 간질액의 실제값을 측정할 수 있다면 정상 혈장량을 유지하고, 세포외액으로의 병리학적 이동에 의한 간질액 증가를 예방할 수 있는 만큼만 수액을 정주할 수 있을 것이고, 이는 임상의사의 궁극적인 목적인 수분저류를 최소화하면서도 수술 후 환자의 예후를 개선할 수 있는 방식이 될 수 있다.[0013] 세포내액 및 세포외액은 BIS(bioimpedance spectroscopy) 등으로 측정 가능하다. 하지만, 간질액 또는 혈장량을측정할 수 있는 기술은 종래 알려져 있지 않으며, 특히 간질액 또는 혈장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은 종래에 존재하지 않는 실정이며, 현재 이학적 검사, 임상병리검사, 체액 분포적 검사를 상호 보완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0014]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82554호
(특허문헌 000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32916호
(특허문헌 0003) 유럽특허 EP 2 087 836 A1
발명의 내용
결하려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세포내액(ICF), [0015] 세포외액(ECF), 세포내외액량의 비, 혈장량(PV) 및 간질액(ISF)을 직접적이고 연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체액 분포 모니터링 방법 및 장
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0016] 또한, 본 발명은 침습적 혈압 측정이 중지되지 않으면서 일정 간격으로 매우 짧은 시간 내에 혈장량(PV)을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는 혈장량 측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