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마당

청년창업가는 금수저여야 하나요?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19-11-18

 
‘편견댓글 읽어봤다’ 코너는 <위클리 공감>과온라인 뉴스 매체 <허프포스트코리아>가 함께 만드는영상 콘텐츠로 우리 사회 편견에 관해 이야기한다. 대한민국의 청년창업은 2016년 기준 22만 6000개로, 전체 창업의 22.9%로 나타났다. 대박을 꿈꾸며 사업에 뛰어든 청년이 많다는 얘기다. 하지만 창업 후 ‘정부지원금을 받기 위해 브로커를 썼다’거나 ‘금수저’라며 비난을 받는 등 편견에 시달리고 있다. 사업을 꾸려나가는 것도 힘에 부치는데 수모까지 받는 청년창업자들. 창업을 생각해보는 이들을 위해 실제 사업을 시작한 2명의 청년 대표와 ‘청년기업가센터’ 원장이 한자리에 모여 청년창업과 관련한 인터넷 ‘편견댓글’을 이야기했다. 댓글1) 금수저인 사람들이나 실패할 걱정 없이 창업한다?
전병훈 교수(이하 전 교수): 염 대표와 이 대표는 금수저인가요?
염규리 대표(이하 염 대표), 이신일 대표(이하 이 대표): 아니죠.
염 대표: ‘학생이 돈이 어딨어?’라고 생각하실 수 있어요. 창업 동아리 선배들 얘기 들어보면 ‘그래도 500만 원 정도는 알바를 하든 여행을 안 가든 모아놓아’라고 말해요. 자금을 들고 지원사업을 시도하는 게 순서죠.
▶다양한 정부지원 정책을 찾아보고 자금을 지원받는다.
염 대표는 사업에서 종잣돈 마련은 필수라고 말했다. 학생 창업이라 해도 교통비, 식비, 회의비 등 돈 들어갈 곳이 매우 많다. 그렇다면 종잣돈은 어떻게 구할 것인가? 전 교수에 따르면, 최근 ‘창업진흥원(창업넷)’에서 제공하는 ‘예비 창업자 육성사업’과 ‘청년창업 사관학교’ 프로그램 등 정부에서 정책적으로 청년창업을 지원하는 사업이 생겨 예전보다 지원받을 수 있는 기회가 많아졌다. 또 본인의 관심 분야나 사업 특성에 따라 자금 지원사업 외에 대학교 내 창업 공간 대여, 오픈 스페이스, 네트워킹 등을 이용할 수 있다고 한다. 댓글2) 정부지원금을 받는다고 해도 문서 작업에 휘둘려서 스트레스가 크다?
염 대표: 스트레스가 있죠. 하지만 ‘정부지원금도 세금이고 예산이니 마땅히 하겠다’ 정도의 스트레스예요.
이 대표: 우스갯소리로 ‘정부지원금 5000만 원 받으면 대표가 5000만 원어치 문서 작업을 해야 한다’고 해요. 하지만 그렇게 해서라도 예산을 따온다면 엄청난 수확이죠.
▶스트레스 때문에 지원금을 포기할 순 없다.
정부지원금은 시민들의 세금으로 만들어진 예산이다. 지원을 받기 위해 문서 작업은 당연한 절차일 수밖에 없다. 작업할 자료가 많아 스트레스받을 수 있으나 본인이 창업하기 위해 필요한 과정이니 차근차근 준비해나가는 자세가 중요하다. 댓글3) 정부지원금을 얻기 위한 브로커가 있다?
이 대표: 브로커처럼 지원사업 심사를 위한 서류 작업을 대행하는 사람이 있어요. 이런 악용 사례가 심심치 않게 들려오다 보니 그걸 막기 위한 안전장치도 생깁니다. 심사가 지금보다 까다로워지는 식으로요.
▶브로커들이 공정하게 평가받으려는 사람에게 불이익을 주고 있다.
정부지원금은 서류 평가, 발표 평가 두 단계의 심사가 있다. 평가 항목이 많지 않다 보니 문제는 지원금을 노리는 소위 ‘사냥꾼’이나 이를 도와준다는 컨설팅 업체까지 판친다는 것이다. 하지만 보조금 관리에 관한 법률 중 사업계획서 등을 타인이 대신 작성해 제출하는 경우, 작성자(대필자)와 신청자(창업자) 등 관련자 전원이 사기 또는 업무방해죄 등으로 처벌될 수 있다.
댓글4) 지원사업을 잘하면 사업에 도움이 되지만, 집착하면 본업 집중도가 떨어진다?
이 대표: 정답입니다. 정부 지원을 받았다고 해서 우리 아이템이 성공했다고 볼 수 없죠.
전 교수: 문서 작성에 매달리다 보면 사업을 지속하기 힘들죠. 지원금을 기반으로 자립할 힘을 키워야 합니다.
▶외형에만 집착하다 사업에 집중하지 못하는 경우다.
정부지원금을 받을 때 가장 난감한 부분이 바로 문서 작성 기술이다. 잘하면 사업에 큰 도움이 되지만 자칫 잘못하면 독이 될 수 있다. 이 대표는 이런 점을 지적하며 ‘정부지원금을 위한 제안서’가 아닌 ‘고객을 위한 제안서’ 만들 것을 당부했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
박효은 <허프포스트코리아> 에디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