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25년 정부·지자체 3조 2,940억원 창업지원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25-01-09

 

2024.12.30 중소벤처기업부
 

 

‘25년 정부·지자체 3조 2,940억원 창업지원

 - 중기부 등 13개 부처와 88개 지자체 등 101개 기관이 429개 지원사업 추진 예정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오영주, 이하 중기부)는 31일(화), 총 3조 2,940억원 규모의 「2025년 중앙부처 및 지자체 창업지원사업 통합공고」를 한다고 밝혔다.

 

  이번 창업지원사업 통합공고에는 101개 기관, 총 429개 창업지원사업이 포함되었고,  전체 예산은 3조 2,940억원이다. 중앙부처는 중기부 등 13개 부처에서 87개사업에 3조 1,190억원을 지원하고, 지방자치단체는 서울시 등 88개 기관에서 342개 사업에 1,750억원을 지원한다.

 

< 연도별 통합공고 현황 (단위 : 개, 억원) >

 

구분

’20년

’21년

’22년*

‘23년

‘24년(A)

‘25년(B)

증감(B-A)

지원기관(개)

16

31

94

103

99

101

2

 

중앙부처

16

14

14

14

11

13

2

 

지자체

-

17

80

89

88

88

-

대상사업(개)

90

193

378

426

397

429

32

 

중앙부처

90

89

100

102

86

87

1

 

지자체

-

104

278

324

311

342

31

지원예산(억원)

14,517

14,623

36,668

36,607

37,121

32,940

△4,181

 

중앙부처

(융자 제외시)

14,517

-

13,812

-

35,578

(15,398)

35,078

(15,028)

35,621

(15,164)

31,190

(15,832)

△4,431

(668)

 

지자체

-

811

1,090

1,529

1,500

1,750

250

 

  중기부는 창업기업 및 예비창업자에게 창업지원사업 정보를 일괄적으로 알기 쉽게 제공하고자 ’16년부터 창업지원사업을 통합공고해 오고 있다.

 

 

<2025년 창업지원사업 통합공고 개요>

 

■  추진개요 : 「중소기업창업 지원법」 제14조(창업정책정보의 수집 및 제공)에 근거,
(예비)창업기업에게 창업지원사업 정보를 알기 쉽게 접할 수 있도록 공고

■ 대상기관 : (‘16 ~ ’20) 중앙부처 → (‘21) 광역지자체 추가 → (‘22) 기초지자체 추가

■ 사업유형 : 사업화, 기술개발, 시설·공간·보육, 멘토링·컨설팅, 행사·네트워크, 융자, 인력, 글로벌 진출 등 총 8개로 구분

<사업 유형별 현황>


 

 

  지원사업 유형별*(8개)로는 융자가 1조 5,552억원(12개 사업)으로 가장 높은 비중(47.1%)을 차지하고, 사업화 7,666억원(23.3%), 기술개발 6,292억원(19.1%) 순으로 많은 예산이 배정되었다.

 

   * 융자, 사업화, 기술개발(R&D), 시설․공간․보육, 글로벌 진출, 멘토링․컨설팅․교육, 행사․네트워크, 인력

 

<분야별 창업지원사업 수 및 예산 현황(단위 : 억원, %, 개)>

 

구분

융자

사업화

기술개발(R&D)

시설·공간·보육

글로벌 진출

예산

15,552

7,666

6,292

1,502

1,233

(비율)

47.1

23.3

19.1

4.6

3.7

사업수

12

169

8

123

21

(비율)

2.8

39.4

1.9

28.7

4.9

구분

멘토링·컨설팅‧교육

행사·네트워크

인력

합계

 

예산

394

268

33

32,940

(비율)

1.2

0.8

0.1

100.0

사업수

56

37

3

429

(비율)

13.1

8.6

0.7

100.0

 

<기관별 현황>

 

  중기부가 2조 9,499억원(중앙부처의 94.6%)으로 가장 많은 예산을 지원하며, 문체부(530억원), 과기부(454억원), 환경부(237억원) 등 중앙부처(13개)는 총 3조 1,190억원(87개 사업)을 지원한다.

 

  특히, 통일부와 방위사업청은 ‘25년부터 처음으로 창업지원사업을 신설한다. 방위사업청은 방산혁신클러스터(대전, 구미), 국방기술 창업경진대회 등 3개 사업에 13억원을 지원하고, 통일부는 북한이탈주민 기창업자 경영개선자금 지원사업, 경영컨설팅 지원사업 등 3개 사업에 8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지방자치단체(광역 17개, 기초 71개)는 서울(382억원), 경기(200억원), 경남(186억원) 등에서 총 1,750억원을 투입하여 342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 ’25년 중앙부처 및 지자체 창업지원사업 현황 (단위 : 개, 억원) >

 

구 분

중앙부처

지자체(광역+기초)

기관명

사업수

예산(비율)

기관명

기관수

사업수

예산(비율)

1

중기부

35

29,499

94.6

서울

14

36

382

21.8

2

문체부

11

530

1.7

경기

14

54

200

11.4

3

과기부

13

454

1.5

경남

10

44

186

10.6

4

환경부

3

237

0.8

전북

6

29

139

7.9

5

농식품부

7

230

0.7

충남

2

9

136

7.8

6

특허청

2

113

0.4

대전

3

15

106

6.1

7

교육부

1

21

0.1

광주

5

16

105

6.0

8

해수부

2

34

0.1

부산

4

22

104

5.9

9

복지부

4

24

0.1

제주

1

20

103

5.9

10

법무부

1

14

0.1

강원

11

25

61

3.5

11

국토부

2

13

0.1

충북

1

18

58

3.3

12

통일부

3

8

0.1

경북

4

11

44

2.5

13

방사청

3

13

0.1

울산

3

8

42

2.4

14

 

 

 

 

인천

4

15

30

1.7

15

 

 

 

 

전남

4

8

25

1.4

16

 

 

 

 

대구

1

6

22

1.3

17

 

 

 

 

세종

1

6

7

0.4

13

87

31,190

100.0

 

88

342

1,750

100.0

 

<주요 창업지원사업>

 

1 [사업화] 중기부는 시스템반도체, 바이오·헬스 등 10대* 신산업 분야의 유망 창업기업을 선발하여 사업화 및 성장을 지원하는 ‘초격차 스타트업1000+ 프로젝트’를 통해 1,310억원 규모로 약 669개사를 지원한다. 또한, 혁신기술을 보유한 벤처․스타트업이 대기업의 수요에 맞춰 협업하도록 예산 70억원으로 50개사 내외를 지원하는 ‘딥테크 밸류업 특화 프로그램’을 신설한다.

 

     * 10대 분야 : ➊ 시스템반도체 ➋ 바이오·헬스 ➌ 미래 모빌리티 ➍ 친환경·에너지 ➎ 로봇,
➏ 빅데이터·AI ➐ 사이버보안·네트워크 ➑ 우주항공·해양 ➒ 차세대원전 ➓ 양자

 

   환경부는 ‘에코스타트업 지원사업’을 통해 예산 230억원으로 녹색산업분야 유망 창업 아이템이 있는 예비창업자와 창업기업 210개사를 대상으로 창업자금 지원 및 육성 프로그램을 시행한다.

 


 

2 [기술개발] 중기부는 ‘창업성장기술개발’ 사업을 통해 5,960억원(전년대비 643억원 증액)으로 업력 7년 이하이고 연 매출액 20억원 미만인 1,050여 개 창업기업에 최대 3년간 15억원의 기술개발비를 출연 지원할 계획이다.

 

   과기부는 312억원(전년대비 2개 사업 247억원 증가)으로 ‘공공기술기반 시장연계 창업탐색지원(107억원, 실험실 창업팀 100개팀 지원)’ ‘실험실 특화형 창업선도대학 사업(107억원, 116개 실험실)’ 등 4개 사업을 통해 대학․연구기관의 연구원이 창업하는 것을 돕는다.

 

3 [글로벌] 중기부는 창업기업이 글로벌 선도기업과 협업하여 해외시장 진출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글로벌 기업 협업 프로그램’을 통해 530억원으로 약 353개사를 지원할 예정이고, ‘25년부터 신규로 ‘스타트업 법률지원사업’을 신설하여 18억원의 예산으로 규제, 자금, 투자, 계약 등 법률 상담으로 약 600개사를 지원할 예정이다.

 

   문체부는 ‘글로벌 진출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콘텐츠 분야 스타트업의 해외진출, 투자유치 및 글로벌 교류의 장을 마련하고자 예산 25억원으로 85개사 내외를 지원한다.

 

4 [재창업] 중기부는 성실하게 경영했으나 실패한 기업인이 재도전할 수 있도록 재창업 융자자금을 2,000억원(’24년 1,000억원)으로 확대 지원한다.

 

   지자체에서는 경기도(기술창업 재도전 지원, 3억원), 광주시(창업재도전 지원, 2억원), 제주도(청년 다시-DREAM 재창업 지원, 1.4억원) 등이 교육, 멘토링, 사업화 등을 지원하여 성공적인 재창업을 유도한다.

 

5 [지방 창업] 중기부는 창업지원 역량이 우수한 대학을 ‘창업중심대학(9개)’으로 지정하고, 예산 775억원으로 (예비)창업기업 약 800개사를 선정하여 사업화 자금을 지원한다. 또한 전국 17개 창조경제혁신센터를 통해 예산 364억원으로 스타트업과 투자자간 네트워킹, 투자설명회, 대․중견기업과의 다양한 개방형 혁신(오픈이노베이션) 활동 등을 지원한다.

 


 

   서울시 및 관악구 등 13개 자치구에서는 서울창업허브(4개소 110억원), 핀테크랩(2개소 100억원) 등 창업인프라를 조성하며, 관악S밸리를 중심으로 스타트업의 집적화 및 성장을 지원한다.

 

<개별 사업공고 안내>

 

  창업지원사업 통합공고 세부 내용은「K-Startup 포털」 (www.k-startup.go.kr)과 중기부 누리집(www.mss.go.kr) 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2025년 창업지원사업 통합공고의 세부사업별 공고는 해당 부처와 지자체 누리집에서 개별 실시할 예정이다.

 

  중기부 조경원 창업정책관은 “이번 통합공고를 시작으로 내년에도 국민 누구나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혁신적인 기술을 바탕으로 창업에 도전하여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