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제27차 유엔기후협약 당사국총회(COP27) 폐막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22-11-21

 

 

27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7) 폐막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 지원을 위한 독립 재원(Fund) 설립에 합의 -

 

 

 

□ 이집트 샤름 엘 셰이크에서 열린 제27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7, 의장국 이집트)가 당초 폐막일(11월 18)을 이틀 넘겨 11월 20일 오전 10시경(이집트 현지시간 기준)에 최종합의문인 샤름엘셰이크 이행계획(Sharm El-Sheikh Implementation Plan) 채택하고 폐막했다.

 

 ○ 이번 총회에는 198개 당사국과 산업계시민단체 등에서 3만여 명이 참석했다우리나라는 한화진 환경부 장관을 수석대표(교체수석대표 김효은 외교부 기후변화대사) 관계부처* 공무원과 전문가로 구성된 정부대표단이 참석했다또한 정상세션에는 나경원 기후환경대사가 대통령 특사(특사단원정희용 의원정양석 전의원)로 참석했다.   

 

    환경부외교부산업통상자원부기획재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농림축산식품부, 국무조정실(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산림청, 기상청, 농촌진흥청 등

 

□ 이번 총회는 극한 가뭄 등 지구온난화로 심각한 피해를 받고 있는 아프리카 대륙에서 개최되었던 만큼적응손실과 피해’ 등의 의제가 선진국과 개도국간의 최대 쟁점으로 논의되었다.

 

 ○ 특히기후변화로 인한 손실과 피해’ 대응을 위한 재원 마련 문제가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채택 이후 30년 만에 처음으로 당사국총회 정식의제로 채택되었으며총회(COP27) 기간 내내 치열한 협상 끝에 후변화에 가장 취약한 국가를 위한 △기금(fund)을 설립하기로 합의하였다.

 

 

 ○ 또한감축 작업프로그램’ 운영전지구적 적응 목표달성을 위한 프레임워크 설치 등도 합의가 되어당초 글래스고 기후합의(COP26) 에서 후퇴할 것이라는 우려에도 불구하고 일정 부분 진전된 결과를 도출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 Global Goal on Adaptation : 기후변화에 대한 적응 역량 및 복원력 강화 및 취약성 감소 목적으로 파리협정 제7조에 따라 수립

 

□ 아울러파리협정의 목적 달성 경로를 논의하기 위한 정의로운 전환(Just Transition) 작업프로그램을 설립하기로 결정하고28 총회부터 매년 정의로운 전환에 관한 고위 장관급 원탁회의를 개최해 나가기로 합의하였다.

 

□ 한편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총회 계기 정상회의*가 개최되어, 112개 국가에서 정상급 인사들이 참석했다.

 

    * The Sharm El Sheikh Climate Implementation Summit

 

 ○ 각국의 정상급 인사들은 국가 발언을 통해 기후변화 해결을 위한 자국의 이행 노력을 설명하고 지구온도 1.5℃ 상승 억제를 위해 제26차 당사국총회(COP26)보다 진전된 행동을 촉구하였다.

 

 

제27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7) 주요 결과

 

 

27차 총회 대표결정문]

 

□ 당사국들은 이번 총회가 이행(implementation)의 총회라는 점을 강조하며파리협정 1.5도 목표 달성을 위해 필요한 감축적응손실 및 피해재원기술역량배양 등 파리협정의 주요 요소뿐만 아니라너지해양산림농업 분야에서의 기후변화 대응 노력과 비당사국 이해관계자 참여와 행동을 촉구하였다.

 

 

 ○ 아울러파리협정의 목적 달성 경로를 논의하기 위한 정의로운 전환(Just Transition) 작업프로그램을 설립하기로 결정하고28차 총회부터 매년 정의로운 전환에 관한 고위 장관급 원탁회의를 개최해 나가기로 합의하였다.

 

 ○ 다만선진국 및 군서도서국 협상그룹(AOSIS) 등이 2025년 이전까지 전 세계 배출량 정점 달성 촉구글래스고 기후합의의 석탄발전 단계적 축소화석연료 보조금 단계적 철폐보다 진전된 감축 노력 등을 요구했으나 반영되지 못했다.

 

감축(Mitigation) ]

 

□ 감축 작업 프로그램 운영과 관련하여추가적인 감축부담을 우려하여 일시적 운영(1)을 주장하는 개도국과 감축의욕 상향을 위해 2030년까지 운영해야 한다는 선진국의 입장이 대립했으나,

 

  타협안으로 감축 작업프로그램을 2023년부터 착수하여 2026년까지 운영하기로 으며별도 대화체(dialogue)를 구성하여 △부문 13및 주제별* 감축 방안, 기술△정의로운 전환 등에 의견을 공유하기로 하였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의 온실가스 산정 지침에 따른 부문과 제6 평가보고서의 제3실무작업반 보고서에 제시된 부문별 최저비용 감축 수단 등

 

  해당 대화체(dialogue)에는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폭넓은 논의를 위해 민간(산업계, NGO )의 참여도 가능하도록 하였다.

 

손실과 피해(Loss and Damage) ]

 

□ 이번 총회 시작부터 개도국들은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한 손실과 피해 대응을 전담하는 재정기구(financial facility)를 신설해야 한다고 강력하게 주장했다.

 

 ○ 이에 대해선진국들은 막대한 자금과 시간이 소요되는 새로운 기구 창설보다는 인도적 지원(humanitarian assistance) 등 손실과 피해 관련 원의 확대와 녹색기후기금(GCF) 등 이미 존재하는 기구의 기능 강화를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대응해 나가야 한다는 입장이었으나,

 

 

 ○ 개도국의 의견을 반영하여손실과 피해 지원을 위한 기금(fund) 설립하고새로운 종합적인 관점에서 기존의 손실과 피해 재원 지원 체계를 보완하기로 하였다.

 

 ○ 다만동 기금과 지원체계의 상세 운영방안에 대해서는 선진국-개도국 인사들로 구성된 준비위원회(transitional committee)를 설립하여 △기금의 제도적 장치 마련 △기존 재원 확장 방안 등에 대한 논의를 내년까지 지속할 예정이다.

 

□ 또한손실과 피해’ 관련 기술지원 촉진을 위해 2019년 설립된 산티아고 네트워크의 제도적 장치 마련을 위한 협상이 진행되었으며△사무국 설립 및 선정 절차 △자문기구 설립 및 멤버 구성 △네트워크의 상세 운영지침(TOR) 등에 합의하며 지난 3년간의 협상을 마무리 하였다.

 

 ○ 트워크 운영 및 기술지원을 위한 재원은 선진국에서 부담하기로 하고, 사무국 선정은 내년 공모 절차를 거쳐 제28차 당사국총회에서 최종 승인할 예정이다.

 

적응(Adaptation) ]

 

□ 그동안 적응 관련 논의를 주도해왔던 적응위원회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개도국의 요청으로전지구적 적응 목표 달성을 위한 체제(프레임워크)를 설립하기로 했다.

 

 ○ 다만그 성격과 목적세부 운영 방식 등은 글래스고-샤름엘셰이크 작업프로그램(GlaSS)*을 통해 구체화하고 제28차 당사국총회에서 결정하는 것으로 합의했다.

 

   전지구적 적응 진전 등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론지표 등을 개발하는 2년 작업

 

 

재원(Finance) ]

 

□ 개도국들은 선진국들이 약속한 장기재원 조성 목표* 달성하지 못한 것**에 대해 우려를 표하였으며 이에 선진국들은 2025년까지  연간 1천억불 조성을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하기로 하였다.

 

    총회(COP16)에서 선진국은 개도국 지원을 위해 ‘20년까지 매년 1천억불을 조성하기로 합의한 바 있으며 총회(COP21)에서 이를 ’25년까지 연장

 

   ** 경제협력개발기구 측정 기후재원 규모(억불): (16) 585 (17) 716 (18) 799 (19) 804 (20) 833

 

 ○ 또, 2025년 이후의 새로운 재원 조성목표는 금년부터 개시된 기술전문가대화체*를 통해 논의해 나가기로 하였다.

 

    작년 총회(COP26)에서 당사국들은 ’22~‘24년 동안 매년 네 차례의 기술전문가대화체 및 한 차례의 고위급 대화체를 통해 새로운 재원목표를 논의하기로 합의

 

협정 제6(국제탄소시장] 

 

□ 작년 총회에서 이행규칙이 마련된 파리협정 제6(국제탄소시장) 실질적인 이행을 위한 기술지침 일부가 채택되었다.

 

 ○ 국가간 자발적 국제감축 협력사업(6.2)와 관련해서는국가 초기보고서* 양식감축실적 등록 시스템 개발 사항6.2조 활동의 사후 검토 지침(기술전문가 검토지침등을 일부 확정하였고,

 

    initial report: 감축목표(NDC) 등 국가 수준의 정보와 개별 협력적 접근법의 환경건전성 및 예상 감축량 등에 대한 사업 정보를 담은 보고서로 감축실적(ITMO) 최초 허가 전에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에 제출

 

 ○ 협정 6.4조로 전환된 청정개발체제(CDM)의 사업기간은 최대 2025년말까지로 한정하고2021년 이전에 발급된 감축실적(CER) 사용을 위한 서면 신청절차 등을 마련하였다다만6.4조 메카니즘의 방법론 및 체제(CDM) 전환 지침은 차기 회의에서 다시 논의하기로 하였다.

 

 

 

 

기술지원(Technology Development and Transfer) ]

 

□ 유엔기후변화협약 하에서 개도국으로 기술 지원 활성화를 위해 설립된 정책기구인 기술집행위원회*(TEC)와 이행기구인 기후기술 센터네트워크(CTCN)의 공동업무계획(23~27)을 확정했다.

 

   TEC(Technology Executive Committee), CTCN(Climate Technology Centre and Network

 

  개도국 기후기술 지원을 위한 8대 주요 분야로 디지털화-에너지-식량 시스템에너지 시스템건물 및 인프라기술로드맵국가혁신시스템술 수요평가사업과 산업이 선정되어 현행보다 명확한 분류체계 하에서 효과적인 국가간 기후기술 협력이 가능해졌다.

 

 

정부 대표단 활동

 

 

 

□ 이번 총회에서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사무국 및 관련기구 직위(132)에 대한 선거가 시행되었으며우리나라는 △적응기금이사회(AFB)* 이사(기재부 녹색기후기획과장재임△재정상설위원회(SCF)** 위원(기재부 녹색기후기획과장진출이 확정되어 앞으로도 국제사회의 기후 재원 논의에 활발히 참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2001년 기후변화에 취약한 개도국의 적응사업 지원을 위해 설립된 다자기후기금인 적응기금의 이사회로 총 16개국으로 구성되며 연 2차례 회의 개최

 

   ** 당사국총회의 기후재원 논의 전반을 주도하는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부속기구로 총 20개국으로 구성되며 연 23차례 회의 개최

 

□ 아울러우리 대표단은 금번 총회 개최 이전부터 주요 의제인 감축파리협정 6조 등에 대해 국가제안서를 마련우리 입장을 적극 개진하였으며투명성체계(Transparency Framework) 의제 공동주재자를 역임하고 등 또한 신기술을 활용한 원자력그린 수소 등 새로운 청정에너지의 국제적 확대를 위해 전력발생원 구성비에서 청정에너지 확대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문안을 결과문서에 반영하는 등 협상 진전에 기여하였다.

 

□ 한편내년 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는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에서 개최하기로 결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