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도 상반기(및 2분기) 중소기업 수출 동향’발표(7.21) -
□’21년도 상반기 중소기업 수출 565억달러(전년동기대비 100억달러↑, 21.5%↑)로 반기 기준 역대 최고치 달성
□ 화장품(코로나19 극복 기대감), 의약품(신속진단키트 수요 급증), 반도체·반도체 제조용 장비(비대면 경제 확산) 등이 수출 호조를 주도
중소벤처기업부(장관 권칠승, 이하 중기부)는 7월 21일(수), ’21년도 상반기(및 2분기) 중소기업 수출 동향을 분석해 발표했다.
(1) 총괄 : 반기 기준 역대 최고인 565억달러(전년동기대비 21.5%↑)
’21년 상반기 중소기업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21.5% 증가한 565억달러로 반기 기준 역대(‘10년 통계작성 이래) 최고치를 달성했다.
지난해 11월 이후 중소기업 수출이 8개월 연속 증가해 코로나19 이전 이상의 성장세를 시현(’19년 상반기 대비 68억달러↑, 13.7%↑)했다.
※ 수출증감률(%) : (’20.10)△2.5→(11)12.0→(12)13.7→(’21.1)14.5→(2)4.1→(3)16.8→(4)26.4→(5)38.5→(6)30.9
역대 반기 수출액(억달러) : (1위) 565(’21.상), (2위) 542(’20.하), (3위) 530(’17.하)
특히 최근 3개월 연속 30% 내외의 높은 성장률을 보이면서 2분기 수출이 295억달러(전년동기대비 31.7%↑ 증가)로 분기 기준으로도 역대 최고치를 달성했다.
※ 역대 분기 수출액(억달러) : (1위) 295(’21.2Q), (2위) 287(’20.4Q), (3위) 273(’16.4Q)(2) 품목별 : 20대 품목(전체 수출비중 50.7%)이 27.1% 증가, 코로나19 시대 특징이 반영된 품목의 호조세 지속
화장품은 27.1억달러로(전년동기대비 17.1%↑)를 수출해 반기 기준 역대 최고 실적을 달성했다. 특히 주요국(미·중·일)과 신흥국(베·러)으로 수출을 확대했다.
※ 국가별 화장품 수출액 및 증감률(억달러, %) : 중국 10.4(3.1), 미국 3.1(34.3), 일본 3.1(20.1), 베트남 1.6(52.0), 러시아 1.4(38.4) 등
또한 코로나19 신속진단키트(항원·항체검사기반) 수출 확대에 따라 의약품 수출이 19.8억달러로 크게 늘었고(전년동기대비 224.9%↑), 글로벌 전기차 보급 확대로 자동차부품 수출도 21.2억 달러(전년동기대비 26.1%↑)로 대폭 증가했다.
아울러 중화권(중국, 홍콩, 대만)을 중심으로 반도체(15.0억달러, 전년동기대비 45.5%↑) 및 반도체제조용장비(18.8억달러, 전년동기대비 21.5%↑)의 수출도 크게 늘었다.
※ 국가별 반도체 수출액 및 증감률(억달러, %) : 홍콩 4.4(63.2), 중국 4.3(41.6), 베트남 1.8(21.6), 대만 1.6(126.1), 일본 0.6(24.0) 등
국가별 반도체제조용장비 수출액 및 증감률(억달러, %) : 중국 8.9(4.9), 대만 2.2(33.6), 미국 2.1(19.6), 베트남 1.4(261.3), 일본 1.1(10.5) 등
(3) 국가별 : 주요 10개국(수출비중 69.0%) 수출이 19.4% 증가, 특히 미국·독일 수출이 반기 기준 역대 최고치 달성
미국은 자동차부품과 인테리어 수요 증가에 따른 플라스틱 제품 수출 호조 등으로 4월부터 수출이 두자릿수 증가하며, 69.8억 달러(전년동기대비 15.0%↑)로 반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하였다.
* 對미국 품목별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자동차부품) 6.4(25.7), (플라스틱제품) 4.9(14.7), (화장품) 3.1(34.3), (전자응용기기) 2.2(23.9) 등
독일도 코로나19 진단키트 수요로 의약품, 기타정밀화학제품 등의 수출이 급증해 4월(두자릿수 증가)을 제외하고 1~6월 수출 모두 세자릿수 증가하며 반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 對독일 품목별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의약품) 9.9(29,833.4), (기타정밀화학제품) 0.5(239.5), (기타금속광물) 0.4(35.5) 등
(4) 수출방식 : 온라인 수출액(5.6억달러, 101%↑) 및 기업수(6,576개사, 58%↑) 모두 크게 증가, ’20년 실적(7.3억 달러)의 77%를 6개월 만에 달성
온라인 수출은 ‘20년 1월부터 18개월 연속 두자릿수 이상 증가를 지속하며 전년 수출액(7.3억 달러)의 77%를 6개월만에 달성했다.
주요 특징으로는 수출품목이 화장품(비중 38.7%), 의류(비중 16.7%) 등 한류와 연관된 소비재에 집중되고, 수출대상국가도 일본(비중 52.4%), 중국(비중 18.1%), 미국(비중 17.7%) 등 글로벌 온라인몰이 발달한 국가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 중기 온라인 수출 품목 비중/증감률(%) 】 | 【 중기 온라인 수출 국가 비중/증감률(%) 】 |
구 분 | 비중 | 증감률 | 1 | 화장품 | 38.7 | 212.0 | 2 | 의류 | 16.7 | 50.6 | 3 | 음향기기 | 10.3 | 1,650.9 | 4 | 생활용품(플라스틱제품) | 4.2 | 223.8 | 5 | 문구 및 완구 | 3.4 | 175.6 | 상위 5대 합계 | 73.2 | 175.3 |
| 구 분 | 비중 | 증감률 | 1 | 일본 | 52.4 | 138.4 | 2 | 중국 | 18.1 | 34.1 | 3 | 미국 | 17.7 | 225.8 | 4 | 싱가포르 | 2.6 | △27.0 | 5 | 대만 | 1.3 | 73.5 | 상위 5대 합계 | 92.1 | 103.7 |
|
중기부 오기웅 글로벌성장정책관은 “’21년 상반기는 코로나19 극복 기대감으로 중소기업 수출이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며,
“중기부는 중소기업 수출 호조세가 유지될 수 있도록 유망업종 중심으로 온라인・비대면 마케팅 지원을 강화하고 이번 추경 사업을 통해 중소기업 물류 애로를 완화하겠다”고 밝혔다.
◦ 본 동향자료는 관세청 통관자료를 기초로 2021년도 1월~6월까지의 중소기업 수출 실적을 분석한 것임 ◦ 수출기업수는 수출자(화주) 기준 사업체수를 기준으로 작성하였으며, 기업규모 구분(대・중견・중소)은 기업규모별 변동현황을 반영・작성 * (대기업) ’21.2월 공정위 발표기준, (중견기업) ’21.1월 말 산업부 발표기준 ◦ 연간 통계확정시(’22.2월)까지 일부 수치는 정정될 수 있음 |
|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중소벤처기업부 글로벌성장정책과 이호중 사무관(☎044-204-7502), 이가형 전문관(☎044-204-7514)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참고 1 | | 2021년도 상반기(및 2분기) 중소기업 수출 동향 |
□ ’21년 상반기 중소기업 수출은 565억달러(전년동기대비 21.5% 증가)로 반기 기준 역대(‘10년 통계작성 이래) 최고치 달성
◦ 지난해 11월 이후 8개월 연속 증가, 2분기 증가폭을 확대하며
코로나19 이전 이상의 성장세 시현(’19년 상반기 대비 68억달러↑, 13.7%↑)
* 수출증감률(%) : (’20.10)△2.5→(11)12.0→(12)13.7→(’21.1)14.5→(2)4.1→(3)16.8→(4)26.4→(5)38.5→(6)30.9
* 역대 반기 수출액(억달러) : (1위) 565(’21.상), (2위) 542(’20.하), (3위) 530(’17.하)◦ 20대 품목이(수출비중 50.7%) 27.1% 증가, 주요 10개국(수출비중 69.0%) 수출이 19.4% 증가하며 수출 증가를 견인
* 미국(70억달러, 15%↑), 독일(19억달러, 165%↑) 수출이 반기 기준 역대 최고치 달성 □ 2분기 수출은 295억달러(전년동기대비 31.7% 증가)로 최근 3개월 연속 30% 내외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며 분기 기준 역대 최고치 달성 * 역대 분기 수출액(억달러) : (1위) 295(’21.2Q), (2위) 287(’20.4Q), (3위) 273(’16.4Q) ◦ 조업일수(전년동기비 +2일) 효과를 배제하여도 두자릿수 증가세를 지속, 최근 2개월 수출은 높은 성장세 기록 * 일평균 수출액 증감률(%): (’20.11)14.4→(12)9.0→(’21.1)9.4→(2)20.1→(3)16.8→(4)15.9→(5)41.8→(6)28.2참고 2 2021년도 상반기(및 2분기) 중소기업 수출 주요 특징
□ 월 수출액 및 일평균 수출액이 8개월 연속 동시 증가하는 경우는 ’17년 이래로 처음, 2월(역대 2월 중 2위)을 제외한 1~6월이 역대(‘10년 통계작성 이래) 해당 월 1위를 기록하며, 반기 중 역대 최고치 달성
* 수출증감률(%) :
(’20.10)△2.5→ (11)12.0→ (12)13.7→ (’21.1)14.5→ (2)4.1→ (3)16.8→ (4)26.4→ (5)38.5→ (6)30.9
* 일평균 수출증감률(%) :
(’20.10)6.8→ (11)14.4→ (12)9.0→ (’21.1)9.4→ (2)20.1→ (3)16.8→ (4)15.9→ (5)41.8→ (6)28.2
□ 코로나19 이전보다도 높은 실적을 달성, 1~6월 월별 수출은 ’19년과 비교시에도 상대적으로 높은 수출액을 기록
< 최근 3년 1~6월 중소기업 월별 수출 실적 (단위 : 억 달러) >구 분1월2월3월4월5월6월2019년8270858990802020년7478887769782021년85821039796102
□ 상위 품목·국가 중 4개 품목(화장품, 의약품, 반도체 제조용 장비, 철강판)과 對미국·독일 수출이 역대 반기 최대 실적 달성
◦ 중소 수출증가 품목·국가 수는 최근 3년 비교시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
(단위 : 개)구 분18년19년20년21년上下上下上下上20대품목 중 수출증가 품목수1413496141910개국 중 수출증가 국가수85522710
□ 온라인 수출(5.3억달러)은 ‘20년 1월부터 18개월 연속 두자릿수 이상 증가를 지속하며 전년 수출액(7.3억 달러)의 77%를 6개월만에 달성
* 월별 온라인 수출 증감률(%): (’20.1) 45.5 → (6) 164.6 → (12) 101.6 → (’21.3) 172.6 → (6) 115.7
◦ 전체 수출에 비해 수출품목이 한류와 연관된 소비재에 집중되고, 수출국가도 글로벌 온라인몰이 발달한 국가에 집중되는 경향
- 최근 음향기기 품목의 對중국·미국 수출이 크게 증가하며 상반기 3위 기록
* ‘19년 1.6백만$(11위) → ’20년 9.7백만$(8위) → ‘21.상 32백만$(3위)참고3 2021년도 상반기 주요 품목별 중소기업 수출 동향
□ 20대 품목 중 19개 품목이 증가, 전 품목 균형적 성장을 기록하며 코로나19 이전 이상의 성장세 시현(’19년 상반기 대비 13.7% 증가)
◦ (플라스틱제품 : 28.0억 달러, 16.3%↑) 전기차배터리·스마트폰 시장 성장에 힘입어 주요 수출국인 중국·미국·베트남으로의 수요 증가, 2분기 두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하며 역대 분기 최대 실적 달성* 플라스틱제품 수출액(억달러) : ('19.上) 24.9 → ('20.上) 24.1 → ('21.上) 28.0 (‘19년 대비 12.3%↑)
* 국가별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중국 5.9(24.9), 미국 4.9(14.7), 베트남 3.4(1.7),
일본 1.8(1.8), 헝가리 0.9(46.0) 등
◦ (화장품 : 27.1억 달러, 17.1%↑) 기초화장품을 중심으로 주요국(중·미·일) 수요 증가, 신흥국(베트남·러시아)으로 수출도 확대하며 역대 반기 최대 실적 달성* 화장품 수출액(억달러) : ('19.上) 22.8 → ('20.上) 23.2 → ('21.上) 27.1 (`19년 대비 18.9%↑)
* 국가별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중국 10.4(3.1), 미국 3.1(34.3), 일본 3.1(20.1),
베트남 1.6(52.0), 러시아 1.4(38.4) 등
◦ (자동차부품 : 21.2억 달러, 26.1%) 글로벌 전기차 보급이 확대되며 관련 부품 수요가 급격히 증가, 1분기 소폭 감소(△1.7%)했으나 2분기 플러스 전환하며(77.6%↑) 상반기 수출 증가를 견인* 자동차부품 수출액(억달러) : ('19.上) 20.3 → ('20.上) 16.8 → ('21.上) 21.2 (`19년 대비 4.8%↑)
* 국가별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미국 6.4(25.7), 중국 2.2(57.2), 일본 1.7(44.4),
멕시코1.2(15.7), 베트남 0.8(50.8) 등
◦ (의약품 : 19.8억 달러, 224.9%↑) 코로나19 신속진단키트(항원·항체검사기반) 허용국(독일·슬로바키아 등 유럽국가)으로의 수출 확대로 2분기 큰폭으로 증가하며 역대 반기 최대 실적 달성* 의약품 수출액(억달러) : ('19.上) 3.7 → ('20.上) 6.1 → ('21.上) 19.8 (`19년 대비 435%↑)
* 국가별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독일 9.9(29,833.4), 슬로바키아 1.0(51,385.4), 중국 0.8(△12.2), 덴마크 0.6(2,980.2), 베트남 0.6(23.0) 등
◦ (합성수지 : 19.6억 달러, 51.7%↑) 국제 유가 상승에 따른 수출 단가 상승 및 플라스틱·비닐 원료 수요 지속, 작년 4분기 플러스 전환 후 증가폭 확대* 합성수지 수출 단가(달러/kg) : (`20.上) 1.38 → (`21.上) 1.82
* 합성수지 수출액(억달러) : ('19.上) 15.8 → ('20.上) 13.0 → ('21.上) 19.6 (`19년 대비 24.5%↑)◦ (반도체제조용장비 : 18.8억 달러, 21.5%↑) 반도체 시장 활황으로 주요 반도체 생산국(중화권·미국·네덜란드 등)의 수요 급증, 베트남으로 디스플레이 장비 수출도 증가하며 역대 반기 최대 실적 달성* 반도체제조용용장비 수출액(억달러) : ('19.上) 14.1 → ('20.上) 15.5 → ('21.上) 18.8 (`19년 대비 33.6%↑)
* 국가별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중국 8.9(4.9), 대만 2.2(33.6), 미국 2.1(19.6),
베트남 1.4(261.3), 일본 1.1(10.5) 등
◦ (반도체 : 15.0억 달러, 45.5%↑) 비대면 경제 확산으로 IT제품·서버용 반도체 수요 증가와 함께 중소 업체의 수주량이 증가하면서 1·2분기 수출이 두자릿수 증가* 반도체 수출 단가(달러/kg) : (`20.上) 335.1 → (`21.上) 416.3
* 반도체 수출액(억달러) : ('19.上) 10.8 → ('20.上) 10.3 → ('21.上) 15.0 (`19년 대비 39.6%↑)
* 국가별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홍콩 4.4(63.2), 중국 4.3(41.6), 베트남 1.8(21.6),
대만 1.6(126.1), 일본 0.6(24.0) 등
◦ (철강판 : 13.8억 달러, 32.5%↑) 철강재 시장의 수급불균형에 따른 철광석 가격 급등과 동시에, 주요 수출국의 인프라 투자 확대 영향으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며 역대 반기 최대 실적 기록* 철광석 가격($/톤) : (`20.1Q)90.2→(2Q)92.6→(3Q)177.7→(4Q)131.5→(`21.1Q)170.0→(2Q)198.0
* 철강판 수출액(억달러) : ('19.上) 13.2 → ('20.上) 10.4 → ('21.上) 13.8 (`19년 대비 4.4%↑)
* 국가별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멕시코 1.4(119.1), 베트남 1.2(37.1), 태국 1.1(22.5), 중국 1.0(39.9), 인도 0.7(54.9) 등
◦ (계측제어분석기 : 13.7억 달러, 23.1%↑) OLED 패널 투자 증설로 디스플레이 계측기의 對베트남 수출과 중국으로 OLED용 계측기 및 로봇 관련 기계 수출이 증가하며 1~6월 연속 두자릿수 증가율 기록
* 계측제어분석기 수출액(억달러) : ('19.上) 11.5 → ('20.上) 11.1 → ('21.上) 13.7 (`19년 대비 18.5%↑)
* 국가별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중국 4.5(12.3), 베트남 2.9(57.4), 미국 1.1(11.5),
일본 0.8(△0.3), 홍콩 0.5(37.4) 등
◦ (자동차 : 11.8억 달러, 59.2%↑) 자동차 운반선 부족 문제로 작년감소세였던 중고차 수출이 올해 5월 정상화되며, 2분기 수출이 세자릿수 증가율(189.6%↑) 기록* 자동차 수출액(억달러) : ('19.上) 10.6 → ('20.上) 7.4 → ('21.上) 11.8 (‘19년 대비 11.4%↑)
* 국가별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러시아 2.7(29.1), 요르단 1.6(65.2), 리비아 1.2(42.9),
칠레 0.8(428.6), 터키 0.5(1,126.6) 등
◦ (기타기계류 : 11.3억 달러, △22.2%) 주요국의(중·베·미)의 생산시설 신규 건립 수요 감소에 따라 급감했지만, 최근 우즈벡의 자동차공장 설립 확대로 6월(당월) 수출이 플러스 전환* 기타기계류 수출액(억달러) : ('19.上) 14.6 → ('20.上) 14.1 → ('21.上) 11.3 (‘19년 대비 △19.4%)
/ ’19년 월평균 2.6 → ‘20년 월평균 2.2 → 21년 6월 2.7
* 국가별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중국 3.7(△17.7), 베트남 1.6(△21.4), 미국 1.1(△48.2),
우즈베키스탄 0.4(2,423.8), 헝가리 0.1(△74.7), 폴란드 0.2(△60.3) 등
◦ (기타정밀화학제품 : 10.6억 달러, 0.7%↑) 코로나19 진단키트(PCR 방식) 수출이 제조업체 간 경쟁 가열에 따른 가격 하락과 글로벌 백신 접종 확산세로 진단키트 수요가 감소하며 상반기 증가세 둔화* 기타정밀화학제품 수출액(억달러) : ('19.上) 3.0 → ('20.上) 10.5 → ('21.上) 10.6 (‘19년 대비 248.2%↑)
* 국가별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이탈리아 1.2(172.7), 중국 1.0(45.1), 베트남 0.5(48.7),
미국 0.3(△84.4), 일본 0.2(△75.4), 브라질 0.4(△48.2) 등구 분2021년4월 5월 6월 2분기 상반기↓ 증감률증감률증감률증감률증감률비중‘19대비‘20대비플라스틱 제품47219.147045.949925.51,44129.12,80112.316.35.0화장품49826.645115.745421.61,40321.32,71118.917.14.8자동차부품35972.5337116.135155.61,04777.62,1224.826.13.8의약품16751.8309114.3309116.778597.81,980435.4224.93.5합성수지34762.432382.833561.51,00568.11,96524.551.73.5반도체제조용장비32831.330816.03588.499417.61,88433.621.53.3반도체26756.725463.529055.581158.31,50339.645.52.7철강판24459.924779.626752.475962.91,3754.432.52.4계측제어분석기26834.423614.224524.874924.41,36818.523.12.4기계요소19712.419429.420329.859423.41,18914.016.52.1자동차224188.2231302.2210122.4665189.61,18211.459.22.1기타기계류157△47.4208△3.026620.5631△14.01,135△22.2△19.42.0전자응용기기1836.018615.42257.65949.41,12717.69.12.0원동기및펌프19634.818841.319832.458236.01,1114.121.02.0기타정밀화학제품180△44.3173△38.0169△34.3522△39.31,059248.20.71.9산업용 전기기기14941.414787.616154.645758.789628.144.01.6무선통신기기14119.713235.915116.942423.282211.014.91.5문구 및 완구14029.613027.414220.041225.58076.713.61.4의류14715.814711.815622.745016.78043.313.31.4정밀화학원료12738.214487.415979.243067.080024.743.31.420대 소계4,79224.94,81240.25,14932.414,75332.228,64223.427.150.7전체 합계9,72526.49,58038.510,23530.929,53931.756,50113.721.5100.0참고4 2021년도 상반기 주요 국가별 중소기업 수출 동향
□ 주요 10개국 수출(수출비중 69.0%)이 모두 증가
◦ (중국: 120.8억 달러, 16.5%↑) 제조 공장 가동률 정상화, 소비 회복 으로 화장품(면세점 수요), 반도체제조용장비(5G 확대로 고성능 반도체 수요), 합성수지(기능성 화학물질 수요), 플라스틱 제품(배터리 분리막) 등 호조세, 1월~5월 두자릿수대 증가율 기록하며 상반기 전체 수출을 견인
* 중국 제조업 PMI(국가통계국): (‘21.4)51.1→(5)51.0→(6)50.9
* 對중국 수출액(억달러) : ('19.上) 113.6 → ('20.上) 103.7 → ('21.上) 120.8 (‘19년 대비 6.3%↑)
* 품목별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화장품) 10.4(3.1), (반도체제조용장비) 8.9(4.9),
(합성수지) 6.5(39.2), (플라스틱제품) 5.9(24.9) 등
◦ (미국: 69.8억 달러, 15.0%↑) 경기부양책 확대 및 백신 보급에 따른 소비 개선, 자동차부품(전기차), 플라스틱 제품(PVC 바닥재), 화장품(뷰티 유통업 수요), 전자응용기기(ATM기, 의료용 레이저기기, POS단말기 등) 등 호조세 지속, 올해 2분기 수출은 두자릿수 증가하며 상반기 기준 역대 반기 최대 실적 달성* 對미국 수출액(억달러) : ('19.上) 57.6 → ('20.上) 60.7 → ('21.上) 69.8 (‘19년 대비 21.2%↑)
* 품목별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자동차부품) 6.4(25.7), (플라스틱제품) 4.9(14.7),
(화장품) 3.1(34.3), (전자응용기기) 2.2(23.9) 등
◦ (베트남: 55.9억 달러, 19.5%↑) 제조 경기 확장세로 합성수지(자동차·포장·가전용 수요), 계측제어분석기(OLED·카메라모듈의 검사장비), 플라스틱제품(LCD 기능성 필름) 품목의 수요 확대로, 3월부터 증가세 전환* 베트남 제조업 PMI(IHS) : (‘21.4)54.7→(5)53.1→(6)44.1
* 對베트남 수출액(억달러) : ('19.上) 51.2 → ('20.上) 46.8 → ('21.上) 55.9 (‘19년 대비 9.3%↑)
* 품목별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합성수지) 3.7(55.3), (플라스틱제품) 3.4(1.7),
(계측제어분석기) 2.9(57.4), (편직물) 2.7(22.9) 등
◦ (일본: 49.6억 달러, 3.6%↑) 자동차부품(완성차 시장 회복세), 의류(일본 E-커머스 플랫폼을 통한 여성 의류 수요) 등의 수출 호조로 1분기 수출 감소(△1.4%, 작년 급증의 역기저효과)에서 2분기 플러스(8.7%↑) 전환* 對일본 수출액(억달러) : ('19.上) 49.6 → ('20.上) 47.9 → ('21.上) 49.6 (‘19년 同)
* 품목별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화장품) 3.1(20.1), (플라스틱제품) 1.8(1.8),
(자동차부품) 1.7(44.4), (의류) 1.7(9.0) 등
◦ (독일: 18.7억 달러, 165.0%↑) 코로나19 진단키트 수요로 의약품, 기타정밀화학제품의 수출이 급증, 4월(두자릿수 증가)을 제외한 1월~6월 수출 모두 세자릿수 증가하며, 역대 반기 최대 실적 달성* 對독일 수출액(억달러) : ('19.上) 7.3 → ('20.上) 7.1 → ('21.上) 18.7 (‘19년 대비 157.9%↑)
* 품목별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의약품) 9.9(29,833.4), (기타정밀화학제품) 0.5(239.5), (기타금속광물) 0.4(35.5) 등
◦ (홍콩: 17.8억 달러, 5.0%↑) 금은 및 백금(작년 급증(351.9%↑)의 역기저효과) 수출은 감소했지만, 반도체(스마트폰 및 고사양 PC용 수요), 컴퓨터(노트북 수요) 증가로 2분기 증가세 전환* 對홍콩 수출액(억달러) : ('19.上) 18.2 → ('20.上) 16.9 → ('21.上) 17.8 (‘19년 대비 △2.5%)
* 품목별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반도체) 4.4(63.2), (무선통신기기) 0.8(40.0), (컴퓨터) 0.8(68.4),
(화장품) 1.7(△1.3), (금은 및 백금) 0.7(△77.7) 등
◦ (대만: 16.0억 달러, 28.4%↑) 제조 경기 활황으로 19개월 연속 증가세, 반도체 및 제조용 장비(파운드리 수주 물량이 증가) 수출 급증, 레일 및 철구조물(해상 풍력 발전 단지용 파이프) 등 수요 확대로 코로나19 이전 대비 큰 폭으로 증가(‘19년 대비 53.9%↑)* 대만 제조업 PMI(IHS): (‘21.4)62.4→(5)62.0→(6)57.6
* 對대만 수출액(억달러) : ('19.上) 10.4 → ('20.上) 12.4 → ('21.上) 16.0 (‘19년 대비 53.9%↑)
* 품목별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반도체제조용장비) 2.2(33.6), (반도체) 1.6(126.1),
(레일및철구조물) 0.6(292.5), (화장품) 0.6(14.2) 등
◦ (인도: 14.7억 달러, 44.1%↑) 자동차, 가전 등의 산업 수요가 회복, 합금철선철 및 고철과 철강판(현지 철강 생산 부진으로 수입 수요 확대), 합성수지(자동차 및 가전용 플라스틱 복합재) 등 수출 급증* 對인도 수출액(억달러) : ('19.上) 14.4 → ('20.上) 10.2 → ('21.上) 14.7 (‘19년 대비 2.1%↑)
* 품목별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합금철선철및고철) 0.9(116.0), (합성수지) 0.9(127.7)
(자동차부품) 0.7(50.7), (철강판) 0.7(54.9) 등
◦ (인도네시아: 13.9억 달러, 26.8%↑) 제조 경기 확장세로 2분기 부터 수출 호조, 편직물(2분기 섬유 수요 회복 증가 전환), 합성수지(가전·자동차부품용 수요확대), 철강판((자동차·건설 수요 확대) 등의 수출 증가* 인도네시아 제조업 PMI(IHS): (‘21.4)54.6→(5)55.3→(6)53.5
* 對인도네시아 수출액(억달러) : ('19.上) 12.7 → ('20.上) 10.9 → ('21.上) 13.9 (‘19년 대비 9.3%↑)
* 품목별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편직물) 0.9(19.6), (합성수지) 0.9(107.4),
(철강판) 0.6(19.8), (플라스틱제품) 0.5(30.7) 등
◦ (러시아: 12.5억 달러, 28.8%↑) 자동차·관련 부품(2분기 중고차 수출 확대), 화장품(온라인 홍보를 통한 고품질 인식 확대), 철강판(가전 등 전방산업 수요) 등 증가, 2분기 수출이 강한 호조세를 보이며(1분기 △2.5% → 2분기 72.5%↑) 상반기 수출 견인* 對러시아 수출액(억달러) : ('19.上) 11.5 → ('20.上) 9.7→ ('21.上) 12.5 (‘19년 대비 8.4%↑)
* 품목별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자동차) 2.7(29.1), (화장품) 1.4(38.4),
(자동차부품) 0.6(12.1), (철강판) 0.6(41.1) 등구 분2021년4월 5월 6월 2분기 상반기↓ 증감률증감률증감률증감률증감률비중‘19대비‘20대비중국2,18821.92,05516.82,0738.16,31615.412,0846.316.521.4미국1,16512.11,23238.31,34018.73,73622.26,97821.215.012.4베트남1,01834.896353.31,03134.63,01240.15,5939.319.59.9일본8311.98365.589219.62,5598.74,9610.03.68.8독일19373.5299209.1278120.3770130.41,875157.9165.03.3홍콩301△4.73307.236549.799714.81,777△2.55.03.1대만2745.628652.630443.286431.11,59753.928.42.8인도266134.8227138.824288.7735118.41,4662.144.12.6인도네시아23627.623068.823743.570244.51,3889.326.82.5러시아24066.320984.324869.669772.51,2468.428.82.210대 소계6,71221.36,66733.17,01025.620,38826.538,96612.519.469.0총 합계9,72526.49,58038.510,23530.929,53931.756,50113.721.5100.0참고5 2021년도 상반기 중소기업 온라인 수출(일반통관+목록통관) 동향
□ (총괄) 상반기 온라인 수출은 5.6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100.5% 증가
◦ ‘20년 1월부터 매월 두자릿수~세자릿수 증가율 지속
* 월별 온라인 수출증감률(%): (’20.1) 45.5→(6) 164.6→(12) 101.6→(’21.3) 172.6→(6) 115.7
□ (세부 분석) 전체 수출에 비해 수출품목이 한류와 연관된 소비재에 집중되고, 수출국가도 글로벌 온라인몰이 발달한 국가에 집중되는 경향
◦ (품목별) 품목당 5% 수준 이하로 다변화되어 있는 전체 수출과 달리 화장품・의류 및 음향기기(CD 음반 등) 등 5대품목이 수출의 73%를 차지
- 최근 음향기기의 對중국·미국 수출이 크게 증가하며 상반기 3위 기록
* ‘19년 1.6백만$(11위) → ‘20년 9.7백만$(8위) → ‘21.상 32백만$(3위)
【 중기 전체수출 품목 비중/증감률(%) 】【 중기 온라인 수출 품목 비중/증감률(%) 】구 분비중증감률1플라스틱 제품4.929.12화장품4.821.33자동차부품3.577.64합성수지3.468.15반도체제조용장비3.417.6상위 5대 합계19.936.8구 분비중증감률1화장품38.7212.02의류16.750.63음향기기10.31,650.94생활용품(플라스틱제품)4.2223.85문구 및 완구3.4175.6상위 5대 합계73.2175.3※ 목록 수출은 품목 코드가 없어 품목 분석은 일반 수출에 한정
◦ (국가별) 온라인 수출 상위국가는 일본(1위), 미국(2위), 중국(3위), 싱가포르(4위) 등으로 전체 수출 상위국가와 다소 상이
- 한류 등의 영향으로 한국에 대한 인지도가 높으면서 글로벌 온라인 플랫폼*이 발달한 국가 중심으로 수출이 집중되는 상황
* (참고) 국내에 법인이 설립된 해외 온라인몰(국가) : 아마존(미국), 이베이(미국), 알리바바(중국), 쇼피(싱가포르), 큐텐(싱가포르), 큐텐재팬(일본), 라인(대만)【 중기 전체수출 국가 비중/증감률(%) 】【 중기 온라인 수출 국가 비중/증감률(%) 】구 분비중증감률1중국21.415.42미국12.622.23베트남10.240.14일본8.78.75홍콩3.414.8상위 5대 합계56.319.6구 분비중증감률1일본52.4138.42중국18.134.13미국17.7225.84싱가포르2.6△27.05대만1.373.5상위 5대 합계92.110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