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 2022.05.31
<주요내용>
우크라 사태 장기화·中 봉쇄 등 영향…“민생안정·리스크 관리 등 노력”
4월 생산과 소비, 투자가 우크라 사태 장기화와 중국의 봉쇄조치 등의 영향으로 2년 2개월 만에 처음으로 모두 감소했다.
통계청이 31일 발표한 ‘4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 산업생산(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지수는 116.4(2015년=100)로 전월 대비 0.7% 감소했다.
4월 전산업생산은 서비스업(1.4%)·건설업(1.4%)에서 늘었으나, 광공업(-3.3%)·공공행정(-4.3%)에서 줄어 전월비 0.7% 감소했다. 전년동월비로는 4.5% 증가했다.
전산업생산은 올 들어 두 달 연속 감소한 뒤 3월 1.6%로 반등했다가 지난달 다시 하락세로 돌아섰다. 서비스업 생산이 늘었으나, 광공업 생산이 3.3% 줄며 7개월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지출 측면에서는 건설기성은 증가, 소매판매·설비투자는 감소했다.
광공업생산은 4월 들어 수출 증가세가 둔화된 가운데 최근 6개월 연속 증가에 따른 기저효과가 중첩되면서 감소했다.
광공업 생산은 고무·플라스틱(0.8%) 등에서 늘었으나, 중국 봉쇄조치 등으로 수출이 주춤한 반도체(-3.5%), 식료품(-5.4%) 등에서 줄었다.
서비스업 생산(1.4%)은 거리두기 해제에 따른 외부활동 확대 등으로 대면서비스업 중심으로 2개월 연속 1% 이상 큰 폭 증가했다. 전체 서비스업 생산이 코로나 이전을 넘어 역대 최대치를 기록 중인 가운데 숙박·음식, 운수 등 대면서비스업도 코로나 직전수준을 80% 이상 회복했다.
서비스업 생산은 교육(-0.9%) 등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숙박·음식점(11.5%), 협회·수리·개인(8.7%) 등에서 생산이 늘었다.
소매판매는 코로나19 확진자 감소, 거리두기 해제 등 방역상황 개선에 따른 의약품 및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 소비가 크게 줄어들며 소폭 감소(-0.2%)했다.
소비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액지수(계절조정)는 지난달 119.7(2015년=100)로, 의약품과 음식료품 등에서 판매가 줄어 전월 대비 0.2% 감소했다. 이는 1월 -2.0%에서 2월 보합(0.0%)을 보였으나 3월(-0.7%)에 이어 두 달 연속 감소했다.
구체적으로 의복 등 준내구재(7.7%), 승용차 등 내구재(0.4%) 판매가 늘었으나,의약품 등 비내구재(-3.4%) 판매가 줄었다.
설비투자는 공급망 불안 및 주요기업 반도체 장비 도입 지연 등으로 부진이 지속되고 있고, 건설투자는 3월에 이어 2개월 연속 증가(1.4%)했으나, 건자재 가격 상승이 지속되면서 아직 연초 급락 이전 수준까지는 회복하지 못한 모습이다.
설비투자는 기계류와 운송장비 투자가 모두 줄어 전월 대비 7.5% 감소했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특수산업용기계 등 기계류(-11.9%) 및 항공기 등 운송장비(-11.4%) 투자가 모두 줄어 11.9% 줄었다.
국내기계수주는 민간(5.0%) 및 공공(28.4%)에서 수주가 모두 늘어 전년동월 대비 5.9% 증가했다. 건설기성도 토목(3.0%) 및 건축(0.8%) 공사 실적이 모두 늘어 전월 대비 1.4% 늘었다.
현재 경기를 나타내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비농림어업취업자수, 서비스업생산지수는 증가했으나 내수출하지수, 수입액 등이 감소해 전월 대비 0.3p 하락한 102.1이었다. 두 달 연속 감소세다.
향후 경기를 예측하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99.3으로 장단기금리차, 경제심리지수는 증가했으나 기계류내수출하지수, 건설수주액 등이 감소해 전월대비 0.3p 하락해 10개월 연속 떨어졌다.
정부는 우크라 사태 장기화와 중국의 봉쇄조치 등 대외리스크가 지속되면서 경제심리가 둔화되는 가운데, 방역 정상화로 반등이 기대되는 내수도 물가압력 등 불안요인이 잠재해 있어 경기흐름의 불확실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다만, 2차 추경 통과에 따른 소상공인·취약계층 지원 효과, 주요 기업의 대규모 중장기 투자계획 발표 등 긍정적 요인도 상존한다고 진단했다.
정부는 대외 불확실성, 인플레 압력 등 어려움을 극복하고 회복세를 더욱 공고하게 하기 위해 민생안정, 경제활력 제고 및 리스크 관리에 힘을 쏟기로 했다.
소상공인 지원·민생안정 중심 2차 추경을 신속히 집행하고, 이미 발표한 먹거리·생계비·주거 등 긴급 민생대책 이행 및 추가과제를 지속적으로 발굴한다.
과감한 규제혁신, 투자 활성화 지원, 신산업 육성 등을 통해 민간·시장 중심의 경제 역동성·활력 회복 노력을 더욱 가속화하기로 했다.
대내외 리스크 확산이 우리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국가·가계부채 관리 강화, 국내외 금융시장 밀착 모니터링 및 공급망 안정화에도 총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문의 :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 산업동향과(042-481-2161),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 경제분석과(044-215-2730)